설 연휴 때 예전에 금융기관에 근무하다 지금은 조그만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친지 한 분이 기자에게 유사금융업체에 대해 물어왔다. 기자는 그분에게 요즘 유행하고 있는 사금융업체 유형과 어떤 식으로 불법을 저지르고 있는지 설명해줬다. 하지만 그 분의 관심은 따로 있었다.
“요즘 돈은 금융기관 대출중개 업무 하는 사람들이 버는 것 같다. 금고에 대출중개 한 건하면 7만~8만원씩 수수료가 떨어진다. 하루에 10건 정도만 해도 80만원이 들어오는 셈이다.”
그 친지 분은 대출중개 전문 서비스 대행업을 해볼까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사업에 대한 기본 아이디어는 아주 간단했다. 좀더 체계적이고 합법적인 대출중개업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에서 동시에 진행하겠다는 것이었다.
오늘(14일) 금융감독원은 제도권 금융기관 이름을 도용, 불법으로 자금모집 행위를 하고 금융기관 대출중개, 카드 연체 대납을 하는 51개 사금융업자를 적발, 사법당국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그러나 사금융업체에 대해 사법 당국 고발, 홍보 등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지만 시정되지 않고 있다며 단속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금융감독 당국이 열심히 단속해도 사금융업체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친지의 얘기를 들어보면 답은 간단하다. 돈 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한 때 서울 강남의 값비산 술집의 VIP고객이 IMF직후에는 금융자산가들이었다가 벤처사업가, 이제는 사채업자들이라고 한다. 금리를 매개로 한 금융자산이 어디로 이동하는지 보여주는 예이다.
사금융은 신용불량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번성하는 사업이다. 또 사금융이 성행할수록 신용불량자 숫자가 늘어나게 된다. 이래저래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불법적인 사금융을 반드시 뿌리 뽑겠다는 금융당국의 의도는 높이 살만하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사금융이 이 시대 최고 유망사업이 돼 버린 사회에 살고 있다. 그래서 쓴웃음이 나온다.
“요즘 돈은 금융기관 대출중개 업무 하는 사람들이 버는 것 같다. 금고에 대출중개 한 건하면 7만~8만원씩 수수료가 떨어진다. 하루에 10건 정도만 해도 80만원이 들어오는 셈이다.”
그 친지 분은 대출중개 전문 서비스 대행업을 해볼까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사업에 대한 기본 아이디어는 아주 간단했다. 좀더 체계적이고 합법적인 대출중개업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에서 동시에 진행하겠다는 것이었다.
오늘(14일) 금융감독원은 제도권 금융기관 이름을 도용, 불법으로 자금모집 행위를 하고 금융기관 대출중개, 카드 연체 대납을 하는 51개 사금융업자를 적발, 사법당국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그러나 사금융업체에 대해 사법 당국 고발, 홍보 등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지만 시정되지 않고 있다며 단속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금융감독 당국이 열심히 단속해도 사금융업체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친지의 얘기를 들어보면 답은 간단하다. 돈 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한 때 서울 강남의 값비산 술집의 VIP고객이 IMF직후에는 금융자산가들이었다가 벤처사업가, 이제는 사채업자들이라고 한다. 금리를 매개로 한 금융자산이 어디로 이동하는지 보여주는 예이다.
사금융은 신용불량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번성하는 사업이다. 또 사금융이 성행할수록 신용불량자 숫자가 늘어나게 된다. 이래저래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불법적인 사금융을 반드시 뿌리 뽑겠다는 금융당국의 의도는 높이 살만하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사금융이 이 시대 최고 유망사업이 돼 버린 사회에 살고 있다. 그래서 쓴웃음이 나온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