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관통도로를 만들 경우 노원·도봉 주민들은 대기오염과 교통난 등 피해를 한몸에 받게 된다. 생활권 수호 차원에서라도 북한산 관통도로 건설 계획을 백지화할 때까지 우리는 투쟁할 것이다.”
한국도로공사와 건설교통부의 북한산 관통로 건설 계획에 대해 환경단체에 이어 지역 시민단체까지 합세하는 등 반대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7일 동북여성민우회(대표 김연순)에 따르면 지역 환경·시민단체들은 최근 ‘도봉·수락·불암산 관통도로 반대하는 노원도봉 시민연대(시민연대)’를 구성, 6일 서울시장에게 공식 입장을 묻는 공개질의서를 보내고 서울시와 노원·도봉 구청앞에서 1인시위를 벌이는 등 반대운동에 나섰다.
시민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도봉구와 노원구, 의정부시의 대기오염 심화 △나들목 등에 차량 집중으로 인한 교통 마비 △도봉산과 수락산, 불암산의 경관과 생태계 파괴 △30여곳의 불교 문화자산 손상 △이익보전에 눈이 먼 민자회사의 무분별한 자연파괴 등의 이유를 들어 북한산 관통로 건설계획은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또 불암산, 수락산, 북한산 사패봉을 꼬치처럼 꿰뚫는 도로를 만들 것이 아니라 국립공원을 우회하는 노선을 채택할 것을 요구했다.
시민연대 관계자는 “계획에 따라 도봉로 끝자락에 건설되는 의정부 인터체인지는 지리적으로 도봉산과 수락산 사이에 위치, 노원과 도봉지역의 대기를 순환시키는 유일한 통로의 역할을 하는 곳”이라며 “도로공사의 통계대로 이곳에 하루 14만대의 차량이 다닌다면 도봉과 노원구 일대는 차량 배기가스로 가득차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측은 “광역도로망 건설계획에 따라 건설이 추진중인 북한산 관통도로는 연구결과 생태계와 자연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서울 강북지역의 교통난 해결과 균형발전을 위해 도로는 시급히 건설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도로공사와 건설교통부의 북한산 관통로 건설 계획에 대해 환경단체에 이어 지역 시민단체까지 합세하는 등 반대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7일 동북여성민우회(대표 김연순)에 따르면 지역 환경·시민단체들은 최근 ‘도봉·수락·불암산 관통도로 반대하는 노원도봉 시민연대(시민연대)’를 구성, 6일 서울시장에게 공식 입장을 묻는 공개질의서를 보내고 서울시와 노원·도봉 구청앞에서 1인시위를 벌이는 등 반대운동에 나섰다.
시민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도봉구와 노원구, 의정부시의 대기오염 심화 △나들목 등에 차량 집중으로 인한 교통 마비 △도봉산과 수락산, 불암산의 경관과 생태계 파괴 △30여곳의 불교 문화자산 손상 △이익보전에 눈이 먼 민자회사의 무분별한 자연파괴 등의 이유를 들어 북한산 관통로 건설계획은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또 불암산, 수락산, 북한산 사패봉을 꼬치처럼 꿰뚫는 도로를 만들 것이 아니라 국립공원을 우회하는 노선을 채택할 것을 요구했다.
시민연대 관계자는 “계획에 따라 도봉로 끝자락에 건설되는 의정부 인터체인지는 지리적으로 도봉산과 수락산 사이에 위치, 노원과 도봉지역의 대기를 순환시키는 유일한 통로의 역할을 하는 곳”이라며 “도로공사의 통계대로 이곳에 하루 14만대의 차량이 다닌다면 도봉과 노원구 일대는 차량 배기가스로 가득차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측은 “광역도로망 건설계획에 따라 건설이 추진중인 북한산 관통도로는 연구결과 생태계와 자연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서울 강북지역의 교통난 해결과 균형발전을 위해 도로는 시급히 건설돼야 한다”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