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3월 소방관 6명이 순직한 홍제동 화재 참사를 계기로 추진된 ‘소방방화복’사업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특혜시비로 1년 넘게 끌어온 방화복 규격을 둘러싼 논란이 마무리될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12일 행정자치부는 업체의 의견을 상당히 수용하는 선에서 최종 규격서를 확정, 공개했다.
행자부는 “소방용 방화복 규격제정관련 기술검토에서 참여업체의 이의제기 사항을 대부분 수용해 방화복 규격을 확정했다”며 “더이상 논란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행자부는 업체들이 주장해온 △ISO 등 국제시험성능제 도입 △원단별 중량제 폐지 등 핵심사안을 포함시켰다.
이는 행자부가 주장해온 종전 입장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 소방행정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또한 업체들은 여전히 “규격안 중 일부 조항이 여전히 특정업체에 유리하게 되어있다”고 주장해 결과가 주목된다.
◇ 뒷북친 소방행정 = 행자부가 소방방화복 규격을 마련함에 따라 소방대원들에게 사상 처음으로 방화복이 올해 안으로 지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간 소방대원들은 방수복을 입은 채 화재진압에 나서 안전사고에 노출돼 왔었다.
그러나 행자부는 이 과정에서 갈피를 못잡고 사후약방문식의 행정을 계속해 비난을 자초했다.
공청회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외면하던 행자부가 업체의 강력한 항의에 부딪치자 그때서야 의견을 수용했다는 것. 이를두고 현직 소방관들과 업체들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비난했다.
행자부 소방국 관계자 조차도 “문제가 크게 불거지고 나서야 의견을 받아들이는 모습은 소방행정의 잘못을 인정하는 꼴”이라며 뒤늦은 대처를 아쉬워했다. 결국 일관성 없는 행정으로 불신만 키운 결과를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 남아있는 불씨 = 행자부의 최종 규격 발표에 업체들은 대체적으로 만족감을 표했다. 업체들은 “방화복의 안전성을 높이는 핵심요구사항이 많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업체들은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의를 제기하고 있어 주목된다.
하지만 이에대해 행자부는 낙관적이다. 반발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다.
행자부는 6월 중순경에 조달청 입찰 및 계약을 마무리한 후 10월까지는 완제품이 나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12일 행정자치부는 업체의 의견을 상당히 수용하는 선에서 최종 규격서를 확정, 공개했다.
행자부는 “소방용 방화복 규격제정관련 기술검토에서 참여업체의 이의제기 사항을 대부분 수용해 방화복 규격을 확정했다”며 “더이상 논란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행자부는 업체들이 주장해온 △ISO 등 국제시험성능제 도입 △원단별 중량제 폐지 등 핵심사안을 포함시켰다.
이는 행자부가 주장해온 종전 입장과는 많은 차이를 보여 소방행정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또한 업체들은 여전히 “규격안 중 일부 조항이 여전히 특정업체에 유리하게 되어있다”고 주장해 결과가 주목된다.
◇ 뒷북친 소방행정 = 행자부가 소방방화복 규격을 마련함에 따라 소방대원들에게 사상 처음으로 방화복이 올해 안으로 지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간 소방대원들은 방수복을 입은 채 화재진압에 나서 안전사고에 노출돼 왔었다.
그러나 행자부는 이 과정에서 갈피를 못잡고 사후약방문식의 행정을 계속해 비난을 자초했다.
공청회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외면하던 행자부가 업체의 강력한 항의에 부딪치자 그때서야 의견을 수용했다는 것. 이를두고 현직 소방관들과 업체들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비난했다.
행자부 소방국 관계자 조차도 “문제가 크게 불거지고 나서야 의견을 받아들이는 모습은 소방행정의 잘못을 인정하는 꼴”이라며 뒤늦은 대처를 아쉬워했다. 결국 일관성 없는 행정으로 불신만 키운 결과를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 남아있는 불씨 = 행자부의 최종 규격 발표에 업체들은 대체적으로 만족감을 표했다. 업체들은 “방화복의 안전성을 높이는 핵심요구사항이 많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업체들은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의를 제기하고 있어 주목된다.
하지만 이에대해 행자부는 낙관적이다. 반발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다.
행자부는 6월 중순경에 조달청 입찰 및 계약을 마무리한 후 10월까지는 완제품이 나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