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분야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수에서 서울대가 세계 94위에서 73위로 급상승하는
등 전반적으로 국내 대학들의 과학기술 부문 연구수준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들의 순위 상승에도 불구, 국내 전체 논문수가 일본의 6분의1 수준에도 못미치
는 등 세계 수준과는 여전히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23일 교육부가 입수한 99년 국제 SCI(과학논문인용색인)지수에서 서울대는 지난 99년 한해
동안 98년 대비 15.14%늘어난 1천9백24건의 논문을 SCI에 등재된 학술지에 실어 세계 대학
가운데 73위를 차지했다.
SCI는 미국 과학정보재단(ISI)에서 과학기술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구축
한 데이터베이스로 각국 기초과학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서울대는 지난 97년 1천3백95건을 등재해 1백26위에 머물렀으나 98년 1천6백71건으로 94위
를 기록, 1백위권 내에 진입한 지 1년만에 70위권으로 진입하는 상승세를 거듭하고 있다.
다른 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1백55위(1천2백39건)에서 1백47위(1천3백7건)로, 연
세대가 2백49위(7백77건)에서 2백41위(8백39건)로, 한양대가 4백35위(3백76건)에서 4백4위(4백47건)로 각각 뛰어올랐다.
포항공대는 3백35위에서 3백39위로 순위는 다소 낮아졌으나 논문수는 5백41건에서 5백74건
으로 연구인력수를 감안할때 상당폭 늘었고 고려대도 3백67위에서 3백78위로 내려앉았으나 논문수는 4백84건에서 4백93건으로 늘어났다.
성균관대는 삼성의료원의 논문을 포함시킨데 힘입어 4백18위(4백32건)에 올랐고, 인하대가 5백21위(3백13건), 경북대가 5백35위(3백2건)에 올랐다.
대학별 순위는 하버드대가 8천4백92건으로 1위, 일본 도쿄대가 5천8백97건으로 2위, UCLA
가 3위(4천8백70건), 워싱턴대 4위(4천7백62건), 미시간대 5위(4천5백13건), 교토대 6위(4천3백65건), 토론토대 7위(4천3백46건), 존스 홉킨스대 8위(4천3백27건), 펜실베이니아대 9위(4천2백31건), 스탠포드대 10위(4천1백4건) 등이다.
대학과 연구소를 모두 포함한 국가전체 논문수에서는 미국이 26만8천7백65건으로 1위, 영국
이 7만2천39건으로 2위, 일본이 6만8천7백48건으로 3위였다.
한국은 98년보다 15.61% 늘어난 1만9백18건으로 16위에 올라 98년(18위)보다 2계단 상승했
으나 논문 수에서는 미국의 24분의 1, 일본의 6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쳤다.
등 전반적으로 국내 대학들의 과학기술 부문 연구수준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들의 순위 상승에도 불구, 국내 전체 논문수가 일본의 6분의1 수준에도 못미치
는 등 세계 수준과는 여전히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23일 교육부가 입수한 99년 국제 SCI(과학논문인용색인)지수에서 서울대는 지난 99년 한해
동안 98년 대비 15.14%늘어난 1천9백24건의 논문을 SCI에 등재된 학술지에 실어 세계 대학
가운데 73위를 차지했다.
SCI는 미국 과학정보재단(ISI)에서 과학기술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구축
한 데이터베이스로 각국 기초과학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서울대는 지난 97년 1천3백95건을 등재해 1백26위에 머물렀으나 98년 1천6백71건으로 94위
를 기록, 1백위권 내에 진입한 지 1년만에 70위권으로 진입하는 상승세를 거듭하고 있다.
다른 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1백55위(1천2백39건)에서 1백47위(1천3백7건)로, 연
세대가 2백49위(7백77건)에서 2백41위(8백39건)로, 한양대가 4백35위(3백76건)에서 4백4위(4백47건)로 각각 뛰어올랐다.
포항공대는 3백35위에서 3백39위로 순위는 다소 낮아졌으나 논문수는 5백41건에서 5백74건
으로 연구인력수를 감안할때 상당폭 늘었고 고려대도 3백67위에서 3백78위로 내려앉았으나 논문수는 4백84건에서 4백93건으로 늘어났다.
성균관대는 삼성의료원의 논문을 포함시킨데 힘입어 4백18위(4백32건)에 올랐고, 인하대가 5백21위(3백13건), 경북대가 5백35위(3백2건)에 올랐다.
대학별 순위는 하버드대가 8천4백92건으로 1위, 일본 도쿄대가 5천8백97건으로 2위, UCLA
가 3위(4천8백70건), 워싱턴대 4위(4천7백62건), 미시간대 5위(4천5백13건), 교토대 6위(4천3백65건), 토론토대 7위(4천3백46건), 존스 홉킨스대 8위(4천3백27건), 펜실베이니아대 9위(4천2백31건), 스탠포드대 10위(4천1백4건) 등이다.
대학과 연구소를 모두 포함한 국가전체 논문수에서는 미국이 26만8천7백65건으로 1위, 영국
이 7만2천39건으로 2위, 일본이 6만8천7백48건으로 3위였다.
한국은 98년보다 15.61% 늘어난 1만9백18건으로 16위에 올라 98년(18위)보다 2계단 상승했
으나 논문 수에서는 미국의 24분의 1, 일본의 6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쳤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