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남지사 후보들간 ‘선호투표제’ 도입 여부를 놓고 논란이 한창이다. 핵심은 각 후보들간 이해득실에 따른 계산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현재 허경만 지사는 반대를, 박태영 전 산업자원부 장관과 김영진 의원(국회·비례)은 적극 도입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허 지사가 반대하는 이유는 1차투표에서 1위를 하고도 과반수를 얻지 못하면 선호투표제에 의해 역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박-김 후보가 적극 도입 건의에 나선 것은 당내 장악력 면에서 허 지사에게 밀리는 두 후보들이 선호투표를 통해 역전할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민주당 전남도지부는 선호투표제 도입 여부에 대한 유권해석을 중앙당에 의뢰, 현재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에 접수한 상태다.
이에 앞서 민주당 천용택 전남도지부장은 18일 오후 허경만 김영진 박태영 등 도지사 예비 후보자들과 연석회의를 가진 직후 전자투표제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한 후보간 합의사항을 발표했다. 중앙당에서 선호투표제 도입을 허용할 경우 권역별 전자투표를 ‘선호투표제’로 실시하고 투표결과는 경선 마지막날 발표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또 선호투표제가 불가능하면 순천을 포함한 제3의 장소를 심의해 장소를 결정하고, 결정장소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
선호투표에 대한 각 후보들의 주장을 요약한다.
* 허경만 후보
당헌·당규에 없는 ‘선호투표제’ 도입을 단호히 반대한다. 민주당이 1월 24일 개정, 공포한 ‘공직 후보자 추천 규정’(제4장 15조)에 따르면 “광역시장·도지사 후보자 선출은 재적 선거인 과반수의 참석과, 참석 선거인 과반수 득표자를 후보자로 선출하며 투표 결과 과반수 득표자가 없는 경우 1,2위 득표자를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실시하여 다수득표자로 결정한다”고 돼있다. 더욱이 지난 3월 4일 신설된 이 당규 부칙 2조에는 “올해 실시되는 동시 지방선거에서 부득이한 사정으로 결선투표 실시가 어려울 경우 중앙당 당무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결선투표를 아니하고 다수 득표 후보자로 선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박-김 양 후보들이 꼭 선호투표제를 원한다면 먼저 중앙당에 당규 개정을 건의하는 수순을 밟을 것을 충고한다.
다만 투표일정, 투표장소, 권역별 전자투표 실시 등은 전남도지부 선관위 결정에 따를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 박태영-김영진 후보
세 후보가 끝까지 경쟁할 경우 결선투표는 불가능하다. 권역별 선호투표제 실시를 주장하는 이유는 △현실적으로 전남도내 6000여명(선거인단수 5120명)을 수용할 실내체육관이 없다는 점 △5000여명의 선거인단을 한데 모아 결선투표까지 갈 경우 최소 15시간이 소요돼 하루에 투개표를 완료하지 못할 것이라는 점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땐, 선거인단이 또다시 모여 결선투표를 치러야 하는 점 등으로 요약된다.
허 지사가 전자투표 도입은 찬성하면서, 선호투표제를 반대하는 주장은 설득력도 없고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다. 또 신뢰도와 정확성으로 국민적 호응을 받고 있는 대선 경선방식(권역별 선호투표제)을 도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고 이를 준용하는 것도 큰 무리가 아니라고 본다. 권역별 선호투표제는 민주당의 정권재창출을 위한 초석이며 공정성을 담보한 경선방식이라고 확신한다.
허 지사가 반대하는 이유는 1차투표에서 1위를 하고도 과반수를 얻지 못하면 선호투표제에 의해 역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박-김 후보가 적극 도입 건의에 나선 것은 당내 장악력 면에서 허 지사에게 밀리는 두 후보들이 선호투표를 통해 역전할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민주당 전남도지부는 선호투표제 도입 여부에 대한 유권해석을 중앙당에 의뢰, 현재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에 접수한 상태다.
이에 앞서 민주당 천용택 전남도지부장은 18일 오후 허경만 김영진 박태영 등 도지사 예비 후보자들과 연석회의를 가진 직후 전자투표제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한 후보간 합의사항을 발표했다. 중앙당에서 선호투표제 도입을 허용할 경우 권역별 전자투표를 ‘선호투표제’로 실시하고 투표결과는 경선 마지막날 발표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또 선호투표제가 불가능하면 순천을 포함한 제3의 장소를 심의해 장소를 결정하고, 결정장소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결선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
선호투표에 대한 각 후보들의 주장을 요약한다.
* 허경만 후보
당헌·당규에 없는 ‘선호투표제’ 도입을 단호히 반대한다. 민주당이 1월 24일 개정, 공포한 ‘공직 후보자 추천 규정’(제4장 15조)에 따르면 “광역시장·도지사 후보자 선출은 재적 선거인 과반수의 참석과, 참석 선거인 과반수 득표자를 후보자로 선출하며 투표 결과 과반수 득표자가 없는 경우 1,2위 득표자를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실시하여 다수득표자로 결정한다”고 돼있다. 더욱이 지난 3월 4일 신설된 이 당규 부칙 2조에는 “올해 실시되는 동시 지방선거에서 부득이한 사정으로 결선투표 실시가 어려울 경우 중앙당 당무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결선투표를 아니하고 다수 득표 후보자로 선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박-김 양 후보들이 꼭 선호투표제를 원한다면 먼저 중앙당에 당규 개정을 건의하는 수순을 밟을 것을 충고한다.
다만 투표일정, 투표장소, 권역별 전자투표 실시 등은 전남도지부 선관위 결정에 따를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 박태영-김영진 후보
세 후보가 끝까지 경쟁할 경우 결선투표는 불가능하다. 권역별 선호투표제 실시를 주장하는 이유는 △현실적으로 전남도내 6000여명(선거인단수 5120명)을 수용할 실내체육관이 없다는 점 △5000여명의 선거인단을 한데 모아 결선투표까지 갈 경우 최소 15시간이 소요돼 하루에 투개표를 완료하지 못할 것이라는 점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땐, 선거인단이 또다시 모여 결선투표를 치러야 하는 점 등으로 요약된다.
허 지사가 전자투표 도입은 찬성하면서, 선호투표제를 반대하는 주장은 설득력도 없고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다. 또 신뢰도와 정확성으로 국민적 호응을 받고 있는 대선 경선방식(권역별 선호투표제)을 도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고 이를 준용하는 것도 큰 무리가 아니라고 본다. 권역별 선호투표제는 민주당의 정권재창출을 위한 초석이며 공정성을 담보한 경선방식이라고 확신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