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초·중·고교의 약 3분의 2가 초고속국가망으로 연결되어 바야흐로 인터넷 학교시대를 열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한국전산원은 최근 10월말 현재 분교를 포함한 전체 학교의 약 66%에 해당하는 7664개 학교에서 초고속
국가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금년초 5072개교에서 51%가 증가한 수치이다. 이
중에서 완전 무료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학교는 2769개교로 나타났다.
한편, 한통은 나머지 3986개 신규 신청학교에 대한 인터넷 연결을 금년내 완료시키는 것을 목표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고속 유선회선이 불가능한 도서지역 일부학교에는 위성인터넷을 제공할 계획이다.
다만, 워낙 많은 회선을 단시간에 개통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장비 등의 어려움이 있어 일부 학교는 겨울방학
중에 개통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 따르면 분교를 포함한 모든 신청학교들에 대해서 인터넷이 모두 개통되면 모든 학교에서 고속
(256Kbps이상) 인터넷 연결이 실현된다. 지난 9월 1일부터 무료인터넷이 제공되고 있어, 폐교가 예정된
극소수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가 최소한 256kbps 무료 인터넷을 신청했기 때문이다.
모든 학교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은 정부가 1995년부터 구축해온 초고속국가망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이
다. 초고속국가망의 전국 144개 전지역 구축(2단계 사업)은 당초 2002년에서 금년말로 2년 앞당겨 완성
될 계획이다.
한편 세계 각국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각급 학교에 인터넷을 제공하는 국가정보화사업을 추진중이다.
캐나다는 ‘스쿨넷(SchoolNet) 프로젝트’를 통하여 지난해 3월 세계에서 처음으로 자국내 모든 공립학
교와 도서관을 인터넷으로 연결했다고 발표했다. 이중 상당수는 56Kbps(음성급)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경우 정부가 총 22억달러를 투입해 학교와 도서관의 인터넷 보급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 공립학교의
95%이상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 나타났다.
한국전산원은 최근 10월말 현재 분교를 포함한 전체 학교의 약 66%에 해당하는 7664개 학교에서 초고속
국가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금년초 5072개교에서 51%가 증가한 수치이다. 이
중에서 완전 무료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학교는 2769개교로 나타났다.
한편, 한통은 나머지 3986개 신규 신청학교에 대한 인터넷 연결을 금년내 완료시키는 것을 목표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고속 유선회선이 불가능한 도서지역 일부학교에는 위성인터넷을 제공할 계획이다.
다만, 워낙 많은 회선을 단시간에 개통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장비 등의 어려움이 있어 일부 학교는 겨울방학
중에 개통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 따르면 분교를 포함한 모든 신청학교들에 대해서 인터넷이 모두 개통되면 모든 학교에서 고속
(256Kbps이상) 인터넷 연결이 실현된다. 지난 9월 1일부터 무료인터넷이 제공되고 있어, 폐교가 예정된
극소수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가 최소한 256kbps 무료 인터넷을 신청했기 때문이다.
모든 학교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은 정부가 1995년부터 구축해온 초고속국가망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이
다. 초고속국가망의 전국 144개 전지역 구축(2단계 사업)은 당초 2002년에서 금년말로 2년 앞당겨 완성
될 계획이다.
한편 세계 각국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각급 학교에 인터넷을 제공하는 국가정보화사업을 추진중이다.
캐나다는 ‘스쿨넷(SchoolNet) 프로젝트’를 통하여 지난해 3월 세계에서 처음으로 자국내 모든 공립학
교와 도서관을 인터넷으로 연결했다고 발표했다. 이중 상당수는 56Kbps(음성급)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경우 정부가 총 22억달러를 투입해 학교와 도서관의 인터넷 보급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 공립학교의
95%이상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