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우량은행은 수신고가 늘어난 반면 경영평가에서 ‘불승인’받은 비우량은행과 제일은행 등의 수신고는 대폭 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제일은행의 저축성예금 수신규모 하락세가 뚜렷했다. 제일은행은 지난 10월 한달동안 저축성예금이 1조4010억원이 줄었다. 또 한빛·외환·평화· 광주·제주은행은 이 기간동안 저축성예금이 감소추세를 보여 경영평가대상은행들의 수신고 하락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같은 현상은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의 저축성예금수신규모가 증가세를 이어간데 비해 부실 금융기관을 찾는 예금자가 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기간 조흥은행의 저축성 예금규모가 1598억원 증가한 반면, 한빛은행은 1조 3350억원이 줄어들었다. 외환은행도 803억원이 감소했다.
또 평화은행도 1402억원 감소, 광주은행은 606억원, 제주은행은 42억원의 저축성예금이 감소했다.
반면 지난달 한달동안 농협의 저축성예금 규모가 1조3555억원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고, 신한은행도 저축성예금규모가 1조1639억원이 증가해 뒤를 이었다. 국민은행(8949억원), 주택은행(8308억원)을 포함해 한미, 기업, 서울은 행도 증가세를 기록했다.
우량은행 가운데 하나은행은 저축성예금 수신규모가 1167억원 감소했다.
특히 제일은행의 저축성예금 수신규모 하락세가 뚜렷했다. 제일은행은 지난 10월 한달동안 저축성예금이 1조4010억원이 줄었다. 또 한빛·외환·평화· 광주·제주은행은 이 기간동안 저축성예금이 감소추세를 보여 경영평가대상은행들의 수신고 하락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같은 현상은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의 저축성예금수신규모가 증가세를 이어간데 비해 부실 금융기관을 찾는 예금자가 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기간 조흥은행의 저축성 예금규모가 1598억원 증가한 반면, 한빛은행은 1조 3350억원이 줄어들었다. 외환은행도 803억원이 감소했다.
또 평화은행도 1402억원 감소, 광주은행은 606억원, 제주은행은 42억원의 저축성예금이 감소했다.
반면 지난달 한달동안 농협의 저축성예금 규모가 1조3555억원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고, 신한은행도 저축성예금규모가 1조1639억원이 증가해 뒤를 이었다. 국민은행(8949억원), 주택은행(8308억원)을 포함해 한미, 기업, 서울은 행도 증가세를 기록했다.
우량은행 가운데 하나은행은 저축성예금 수신규모가 1167억원 감소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