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미타운 경매 어떻게 되나 <꼭지>
외지인 최고가 입찰‥ 입주민 피해 불가피
법적 구제책 없어 경매장 2차 ‘충돌’ 우려
시공사 부도로 경매가 진행중인 우미타운의 상당수 세대가 외지인들에게 낙찰되자 입주민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또 이달 중 진행될 잔여세대의 경매과정에서도 비슷한 입찰이 진행될 전망이어서 입주민들의 피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9일 정읍지원에서 열린 우미타운 101동 157세대의 경매에 입주민이 아닌 김 모(35.익산시 거주)씨 등 외지인이 최고 입찰가를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입주민들이 입찰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며 집단행동을 보이자 경찰 450여명이 출동하는 등 충돌 양상을 빚었다.
입주민들은 “지원측이 당초 경매시간을 30분이나 연장시켰다”면서 특정인들의 경매 참여를 위한 의도적인 연장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경매를 진행하느 법원 직원들이 외지인들을 안내해 입찰장에 들어온 점 등도 미심쩍은 점이라고 주장한다.
주민들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 정읍지원은 “주민들이 경매장 출입구를 막고 있어 정상적인 경매 진행이 어려워 30분이 연장된 것”이라고 밝혔다.
101동 47% 외지인 낙찰
주민들의 집단행동은 경매를 통해 기존 세입자가 아닌 외지인에게 낙찰될 것을 염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3차 경매가 진행된 101동 175세대의 경우 47%에 달하는 74세대가 외지인에게 낙찰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9일 진행된 경매에서도 외지인들이 최고가로 입찰에 참여했고 이달 중에 경매가 실시될 102동 103동 104동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세입자가 아닌 외지인들이 입찰에 참여해 낙찰 받는 것이 문제가 없다는 점이다.
세입자들이 경매를 통해 매입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지만 외지인이 입찰에 참여, 낙찰 받을 경우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법조계에서는 “적법한 경매절차를 통해 결정된 사안으로 뾰족한 방법을 찾기가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낙찰자가 스스로 포기하도록 하는 방법 외에는 제도적 구제책이 없다는 것.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자 입주민들의 원성을 높아지고 있다. 한 주민은 “입주해서 하루도 편할 날이 없었다”면서 “제도적인 보장책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된다”며 불판을 터뜨렸다. 그는 또 “우미타운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년전부터 전국적으로 벌어진 일인데 국회나 정부가 왜 보고만 있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주민은 ‘그냥 앉아서 당하지는 않겠다’는 각오를 내비치기도 했다. 그는 “문제가 벌어졌으면 그 해결 방법도 있을 것”이라며 “정읍시 등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자치단체의 동참을 촉구했다. 주민들의 이러한 인식은 시가 입주민들만의 문제로 여기고 있다는 판단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오는 5월20일과 27일, 6월17일 등으로 예정된 잔여분 경매과정에서도 또다른 불상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은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꼭지>
외지인 최고가 입찰‥ 입주민 피해 불가피
법적 구제책 없어 경매장 2차 ‘충돌’ 우려
시공사 부도로 경매가 진행중인 우미타운의 상당수 세대가 외지인들에게 낙찰되자 입주민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또 이달 중 진행될 잔여세대의 경매과정에서도 비슷한 입찰이 진행될 전망이어서 입주민들의 피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9일 정읍지원에서 열린 우미타운 101동 157세대의 경매에 입주민이 아닌 김 모(35.익산시 거주)씨 등 외지인이 최고 입찰가를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입주민들이 입찰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며 집단행동을 보이자 경찰 450여명이 출동하는 등 충돌 양상을 빚었다.
입주민들은 “지원측이 당초 경매시간을 30분이나 연장시켰다”면서 특정인들의 경매 참여를 위한 의도적인 연장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경매를 진행하느 법원 직원들이 외지인들을 안내해 입찰장에 들어온 점 등도 미심쩍은 점이라고 주장한다.
주민들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 정읍지원은 “주민들이 경매장 출입구를 막고 있어 정상적인 경매 진행이 어려워 30분이 연장된 것”이라고 밝혔다.
101동 47% 외지인 낙찰
주민들의 집단행동은 경매를 통해 기존 세입자가 아닌 외지인에게 낙찰될 것을 염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3차 경매가 진행된 101동 175세대의 경우 47%에 달하는 74세대가 외지인에게 낙찰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9일 진행된 경매에서도 외지인들이 최고가로 입찰에 참여했고 이달 중에 경매가 실시될 102동 103동 104동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세입자가 아닌 외지인들이 입찰에 참여해 낙찰 받는 것이 문제가 없다는 점이다.
세입자들이 경매를 통해 매입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지만 외지인이 입찰에 참여, 낙찰 받을 경우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법조계에서는 “적법한 경매절차를 통해 결정된 사안으로 뾰족한 방법을 찾기가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낙찰자가 스스로 포기하도록 하는 방법 외에는 제도적 구제책이 없다는 것.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자 입주민들의 원성을 높아지고 있다. 한 주민은 “입주해서 하루도 편할 날이 없었다”면서 “제도적인 보장책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된다”며 불판을 터뜨렸다. 그는 또 “우미타운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년전부터 전국적으로 벌어진 일인데 국회나 정부가 왜 보고만 있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주민은 ‘그냥 앉아서 당하지는 않겠다’는 각오를 내비치기도 했다. 그는 “문제가 벌어졌으면 그 해결 방법도 있을 것”이라며 “정읍시 등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자치단체의 동참을 촉구했다. 주민들의 이러한 인식은 시가 입주민들만의 문제로 여기고 있다는 판단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오는 5월20일과 27일, 6월17일 등으로 예정된 잔여분 경매과정에서도 또다른 불상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은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꼭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