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섭 청와대 정무비서관은 7일 해명서를 통해 “최규선씨와 통화한 적은 있으나 검찰소환 청탁을 늦춰달라는 청탁을 거절했을 뿐 어떤 부탁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비서관은 “4월 14일 각 언론이 ‘검찰이 최규선을 15일 출두하도록 통보했다’고 일제히 보도하자, 이날 오전 최규선이 전화를 걸어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당시 최씨는 수표전달 운운하며 “검찰의 소환을 늦춰달라”는 요지의 요청을 해왔다는 것. 이에 대해 김 비서관은 “‘검찰의 소환문제는 청와대가 간여할 성격이 아니다’며 분명히 거절했다”고 해명했다.
김 비서관은 또한 “나머지 최규선 녹취록은 모두 일방적 주장이며, 다만 최규선이 흥분을 잘하고 말을 함부로 하는 성격이어서 ‘흥분하지 말라’고 당부한 적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비서관이 최규선과 만났다는 동아일보 보도와 관련, “대통령 친인척 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민정비서관으로서 수시로 사실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규선과 접촉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번도 직접 만난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김 비서관은 “4월 14일 각 언론이 ‘검찰이 최규선을 15일 출두하도록 통보했다’고 일제히 보도하자, 이날 오전 최규선이 전화를 걸어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당시 최씨는 수표전달 운운하며 “검찰의 소환을 늦춰달라”는 요지의 요청을 해왔다는 것. 이에 대해 김 비서관은 “‘검찰의 소환문제는 청와대가 간여할 성격이 아니다’며 분명히 거절했다”고 해명했다.
김 비서관은 또한 “나머지 최규선 녹취록은 모두 일방적 주장이며, 다만 최규선이 흥분을 잘하고 말을 함부로 하는 성격이어서 ‘흥분하지 말라’고 당부한 적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비서관이 최규선과 만났다는 동아일보 보도와 관련, “대통령 친인척 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민정비서관으로서 수시로 사실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규선과 접촉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번도 직접 만난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