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가 생활쓰레기 처리를 위해 도입키로 한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 건설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20일 익산시에 따르면 당초 금년 4월까지 완공하여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었던 자원회수시설 건설이 부지조성만 해 놓은 채 첫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는 것.
익산시는 지난 2000년 9월 하루 45톤 처리규모의 쓰레기소각장을 건설키로 하고 MCCK사(대표 김서철)와 ‘자원회수시설 건설 및 폐기물처리 위수탁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계약에 따르면 익산시는 소각장 건설 부지를 제공하고 소각장 건설에 따른 각종 행정절차를 담당하며 MCCK사는 1400만달러를 투자하여 건설공사를 담당하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익산시는 작년 12월까지 부지매입을 마치고 도시계획 변경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MCCK측은 여러 가지 규제에 걸려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MCCK에 따르면 본사인 영국의 ECLIPS사에서 자금을 마련, 한국 MCCK에 보내줘야 하는데 OECD 규정상 총 소요자금의 20%는 국내에서 조달해야 한다는 규정에 묶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해명했다. OECD 규정이란 같은 OECD 국가끼리 투자사업을 진행할 경우 일정 비율에 대해 해당 국가의 금융기관에서 지급보증을 해줘야 하는데 현재 국내 금융기관에서는 이같은 전례가 없어 보증을 해주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MCCK 정재민 이사는 “영국에 있는 스탠더드 은행에서 80%의 자금을 조달하고 나머지 20%는 캐나다 등 제3국 파이낸셜 회사를 통해 투자키로 하는 방안이 거의 확정적”이라고 말하고 “월드컵 직후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익산시 관계자는 “업체 사정으로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선거 등의 이유로 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며 “익산시가 담당하기로 했던 부지 매입 및 도시계획 변경 등의 행정절차는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소문관 기자 mkso@naeil.com
20일 익산시에 따르면 당초 금년 4월까지 완공하여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었던 자원회수시설 건설이 부지조성만 해 놓은 채 첫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는 것.
익산시는 지난 2000년 9월 하루 45톤 처리규모의 쓰레기소각장을 건설키로 하고 MCCK사(대표 김서철)와 ‘자원회수시설 건설 및 폐기물처리 위수탁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계약에 따르면 익산시는 소각장 건설 부지를 제공하고 소각장 건설에 따른 각종 행정절차를 담당하며 MCCK사는 1400만달러를 투자하여 건설공사를 담당하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익산시는 작년 12월까지 부지매입을 마치고 도시계획 변경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MCCK측은 여러 가지 규제에 걸려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MCCK에 따르면 본사인 영국의 ECLIPS사에서 자금을 마련, 한국 MCCK에 보내줘야 하는데 OECD 규정상 총 소요자금의 20%는 국내에서 조달해야 한다는 규정에 묶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해명했다. OECD 규정이란 같은 OECD 국가끼리 투자사업을 진행할 경우 일정 비율에 대해 해당 국가의 금융기관에서 지급보증을 해줘야 하는데 현재 국내 금융기관에서는 이같은 전례가 없어 보증을 해주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MCCK 정재민 이사는 “영국에 있는 스탠더드 은행에서 80%의 자금을 조달하고 나머지 20%는 캐나다 등 제3국 파이낸셜 회사를 통해 투자키로 하는 방안이 거의 확정적”이라고 말하고 “월드컵 직후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익산시 관계자는 “업체 사정으로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선거 등의 이유로 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은 아니다”며 “익산시가 담당하기로 했던 부지 매입 및 도시계획 변경 등의 행정절차는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소문관 기자 mks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