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한 경남은행에 대해 지난 13일부터 경영실태평가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16일 “공적자금 요청과 관련해 금감원 은행검사2국에서 지난 13일부터 21일까지 경영실태평가에 착수했다”며 “당초 예정했던 기간보다 조금 앞당겨 빠르면 오늘이나 17일까지 실사작업이 끝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경남은행이 요청한 공적자금의 규모는 1000억~2000억원 수준”이라며 “공적자금을 지원받더라도 은행의 부실을 올해안에 모두 정리하겠다는 것이 경남은행의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아직 금감위 실사 중으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이 9%대에서, 동아건설 법정관리, 삼성자동차 등에서 부실채를 안아 BIS비율이 하락할 것이 확실시 돼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진행중인 광주, 제주은행의 실사가 21일에 끝나는 만큼 22일이면 경남은행을 비롯한 광주, 제주은행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규모가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경남은행이 공적자금을 지원받게 되면서 당초 한빛은행을 중심으로 구상되던 금융지주회사에서 경남, 광주, 제주 등 지방은행과 평화은행을 묶는 또 다른 금융지주회사 설립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평화은행의 경우 대주주인 한국노총의 태도에 따라 한빛은행 중심의 금융지주회사에서 빠질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경남은행은 동아건설과 관련해 220억원의 추가 충당금을 적립해야 하는 등 연말까지 1400억원 가량의 부실여신을 정리한다는 방침이며 이 경우 BIS비율이 7%미만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16일 “공적자금 요청과 관련해 금감원 은행검사2국에서 지난 13일부터 21일까지 경영실태평가에 착수했다”며 “당초 예정했던 기간보다 조금 앞당겨 빠르면 오늘이나 17일까지 실사작업이 끝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경남은행이 요청한 공적자금의 규모는 1000억~2000억원 수준”이라며 “공적자금을 지원받더라도 은행의 부실을 올해안에 모두 정리하겠다는 것이 경남은행의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아직 금감위 실사 중으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이 9%대에서, 동아건설 법정관리, 삼성자동차 등에서 부실채를 안아 BIS비율이 하락할 것이 확실시 돼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진행중인 광주, 제주은행의 실사가 21일에 끝나는 만큼 22일이면 경남은행을 비롯한 광주, 제주은행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규모가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경남은행이 공적자금을 지원받게 되면서 당초 한빛은행을 중심으로 구상되던 금융지주회사에서 경남, 광주, 제주 등 지방은행과 평화은행을 묶는 또 다른 금융지주회사 설립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평화은행의 경우 대주주인 한국노총의 태도에 따라 한빛은행 중심의 금융지주회사에서 빠질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경남은행은 동아건설과 관련해 220억원의 추가 충당금을 적립해야 하는 등 연말까지 1400억원 가량의 부실여신을 정리한다는 방침이며 이 경우 BIS비율이 7%미만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