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투표일이 불과 하루 앞으로 다가왔으나 전북도내 유권자의 표심이 여전히 오리무중 상태여서 각급 선거구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가슴을 졸이고 있다. 특히 유래 없이 낮은 투표율이 예상돼 접전지역의 경우 점조직을 동원한 막판 금품살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 후보자들이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기초단체장 선거에 나선 한 후보는 상대 후보측이 건넨 돈 봉투를 받았다고 고발하는 유권자에게 거액의 포상금까지 내걸었다. 후보측 관계자는 “(상대 후보가)사조직을 통해 막판 돈봉투 살포를 준비하고 있다는 제보가 있었다”면서 “돈 봉투를 신고하는 유권자에게 1000만원을 주겠다”고 밝혔다.
시 지역 단체장 선거에 나선 한 무소속 후보는 법학을 전공한 대학생 운동원을 가동, 상대 후보의 불법 운동을 감시하고 있다. 투표 전날에는 운동원의 절반을 상대 후보와 선거캠프 관계자의 ‘전담 마크맨’으로 붙여 24시간 밀착 감시할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정읍시 기초의원 선거에 나선 한 후보는 자신의 친지들을 총 동원, 다단계식 비상연락망을 구성하고 감시망을 가동하고 있다.
후보자들이 이처럼 부정선거 감시활동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어느 선거보다 치열한 경쟁이 빚어지면서 ‘한 표’가 소중하기 때문. 남원 기초의원 선거에 나선 한 후보자는 “표 계산 해보면 뻔한데 이기기 위해서는 매표(買票)라도 해서 더 가져와야 한다”고 토로한다.
또 하나는 선관위만 믿고 있다가는 낭패보기 십상이라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기초자치단체 선관위 직원은 시 지역 4명, 군지역 3명에 불과하다. 단속을 담당하는 지도계 직원은 1명이 부정선거감시단원 40명을 교육시키고 해당 지자체 모든 선거구를 단속해야 하는 과부하에 시달리고 있다.
전북도선관위 관계자는 “그나마 이번 선거부터 불법선거 신고 포상금 제도가 도입돼 금품살포가 과거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밥 한끼 술 한잔이 무슨 죄가 되느냐’고 생각하는 유권자 의식을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기초단체장 선거에 나선 한 후보는 상대 후보측이 건넨 돈 봉투를 받았다고 고발하는 유권자에게 거액의 포상금까지 내걸었다. 후보측 관계자는 “(상대 후보가)사조직을 통해 막판 돈봉투 살포를 준비하고 있다는 제보가 있었다”면서 “돈 봉투를 신고하는 유권자에게 1000만원을 주겠다”고 밝혔다.
시 지역 단체장 선거에 나선 한 무소속 후보는 법학을 전공한 대학생 운동원을 가동, 상대 후보의 불법 운동을 감시하고 있다. 투표 전날에는 운동원의 절반을 상대 후보와 선거캠프 관계자의 ‘전담 마크맨’으로 붙여 24시간 밀착 감시할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정읍시 기초의원 선거에 나선 한 후보는 자신의 친지들을 총 동원, 다단계식 비상연락망을 구성하고 감시망을 가동하고 있다.
후보자들이 이처럼 부정선거 감시활동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어느 선거보다 치열한 경쟁이 빚어지면서 ‘한 표’가 소중하기 때문. 남원 기초의원 선거에 나선 한 후보자는 “표 계산 해보면 뻔한데 이기기 위해서는 매표(買票)라도 해서 더 가져와야 한다”고 토로한다.
또 하나는 선관위만 믿고 있다가는 낭패보기 십상이라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기초자치단체 선관위 직원은 시 지역 4명, 군지역 3명에 불과하다. 단속을 담당하는 지도계 직원은 1명이 부정선거감시단원 40명을 교육시키고 해당 지자체 모든 선거구를 단속해야 하는 과부하에 시달리고 있다.
전북도선관위 관계자는 “그나마 이번 선거부터 불법선거 신고 포상금 제도가 도입돼 금품살포가 과거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밥 한끼 술 한잔이 무슨 죄가 되느냐’고 생각하는 유권자 의식을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