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선거에서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 3곳 전패는 민주당으로선 상상하기조차 싫은 시나리오다. 민주당은 선거를 하루 앞둔 12일 전의를 다졌지만 현재로선 비관적 전망이 우세하다.
수도권 전패가 현실화되면 민주당은 책임소재와 정국운용구상, 당의 진로를 놓고 또 한차례 심각한 내홍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대선후보재신임-교체론’ ‘지도부책임론’ 등의 공방이 벌어지며 민주당은 심각한 위기상황으로 빠져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 주류, ‘8·8재보선 준비’ 국면 전환 = 주류측은 빠르게 상황을 반전시켜갈 계획이다. 현안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불필요한 논란과 역량소진을 막겠다는 것이다. 노 후보 재신임을 매듭짓고 곧바로 8·8재보선에 대비한 조직강화특위 구성, 국회 원구성 등 현안이 쌓여있다. 특히 8·8재보선은 또 한차례 민심의 심판이라는 점에서 당의 조속한 선거준비체제 전환을 위한 명분으로 삼을 수 있다.
한화갑 대표는 11일 “지방선거 후보 선정에 당은 관여했지만 대표가 되기 전에 후보가 결정돼 있었다”며 공천에 자신이 관여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그는 “비유하면 내가 입양아를 키우고 있는 셈”이라며 “(대표가)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고 책임질 일이 없으면 책임지지 않으면 된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은 지난 전당대회 후 지도부 구성에 따른 준비 부족, ‘공천 잘못’ 책임은 없다는 책임회피지만 8·8재보선을 위한 포석이기도 하다. 공천과 선거준비를 책임지고 해보겠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는 해석이다.
◇ 대표-총장에게 책임 공세 집중 = 그러나 책임론을 놓고 비주류측의 공세가 만만치않을 것으로 보인다. 선거과정에서 ‘제2쇄신’ 등을 놓고 의견을 달리했지만 선거전이라는 점 때문에 덮어두고 넘어갔다. 이제 할말을 하겠다는 것이다.
선거결과에 대한 평가와 원인진단에서 주류-비주류간 견해차가 드러날 것으로 관측된다. 주류측은 DJ아들 비리게이트에 따른 ‘반민주당’ 민심을 원인으로 보고있지만, 비주류측은 ‘대표-대선후보책임론’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당 한 관계자는 “비주류측이 노 후보보다 한 대표를 타깃으로 삼을 것”으로 전망했다. 비주류 최고위원 한 측근은 “한 대표와 김원길 총장이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두사람을 지목했다. 특히 김 총장은 선거과정에서 최고위원 책임론, 제2쇄신 발언으로 단단히 찍혀있다.
이에 맞서 주류측은 ‘권한만 있고 책임은 없느냐’는 최고위원 책임론과 제2쇄신으로 맞설 것으로 보인다. 소장개혁파들의 ‘탈DJ 노무현당’으로의 변화요구를 배경으로 강도높은 개혁과 변화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것이다.
◇ 노무현 재신임은 후순위 = 가장 큰 문제인 노무현 대선후보의 재신임은 후순위로 밀릴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 결과만 놓고 후보교체론까지 나가기에는 여건이 채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 후보는 13일 지방선거 결과가 나오는대로 자신이 약속했던 재신임문제를 당에 맡길 계획이다. 노 후보는 재신임을 받겠다는 입장만 밝히고 방법 등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당의 논의를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한 당직자는 “지방선거 결과만으로 후보교체론을 주장했다간 부메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지율 급락, 12월 대선 전망 부재 등 후보교체를 위한 조건이 더 갖춰져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정계개편 등 정치권 재편의 큰 그림이 있어야 가능한 얘기라는 것이다.
위의 당직자는 “8·8재보선이 끝나면 노 후보가 말하지 않더라도 재신임문제가 다시 튀어나올 것”이라며 “이때까지 당내 각세력들이 자신의 그림을 그리는 장기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도권 전패가 현실화되면 민주당은 책임소재와 정국운용구상, 당의 진로를 놓고 또 한차례 심각한 내홍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대선후보재신임-교체론’ ‘지도부책임론’ 등의 공방이 벌어지며 민주당은 심각한 위기상황으로 빠져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 주류, ‘8·8재보선 준비’ 국면 전환 = 주류측은 빠르게 상황을 반전시켜갈 계획이다. 현안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불필요한 논란과 역량소진을 막겠다는 것이다. 노 후보 재신임을 매듭짓고 곧바로 8·8재보선에 대비한 조직강화특위 구성, 국회 원구성 등 현안이 쌓여있다. 특히 8·8재보선은 또 한차례 민심의 심판이라는 점에서 당의 조속한 선거준비체제 전환을 위한 명분으로 삼을 수 있다.
한화갑 대표는 11일 “지방선거 후보 선정에 당은 관여했지만 대표가 되기 전에 후보가 결정돼 있었다”며 공천에 자신이 관여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그는 “비유하면 내가 입양아를 키우고 있는 셈”이라며 “(대표가)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고 책임질 일이 없으면 책임지지 않으면 된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은 지난 전당대회 후 지도부 구성에 따른 준비 부족, ‘공천 잘못’ 책임은 없다는 책임회피지만 8·8재보선을 위한 포석이기도 하다. 공천과 선거준비를 책임지고 해보겠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는 해석이다.
◇ 대표-총장에게 책임 공세 집중 = 그러나 책임론을 놓고 비주류측의 공세가 만만치않을 것으로 보인다. 선거과정에서 ‘제2쇄신’ 등을 놓고 의견을 달리했지만 선거전이라는 점 때문에 덮어두고 넘어갔다. 이제 할말을 하겠다는 것이다.
선거결과에 대한 평가와 원인진단에서 주류-비주류간 견해차가 드러날 것으로 관측된다. 주류측은 DJ아들 비리게이트에 따른 ‘반민주당’ 민심을 원인으로 보고있지만, 비주류측은 ‘대표-대선후보책임론’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당 한 관계자는 “비주류측이 노 후보보다 한 대표를 타깃으로 삼을 것”으로 전망했다. 비주류 최고위원 한 측근은 “한 대표와 김원길 총장이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두사람을 지목했다. 특히 김 총장은 선거과정에서 최고위원 책임론, 제2쇄신 발언으로 단단히 찍혀있다.
이에 맞서 주류측은 ‘권한만 있고 책임은 없느냐’는 최고위원 책임론과 제2쇄신으로 맞설 것으로 보인다. 소장개혁파들의 ‘탈DJ 노무현당’으로의 변화요구를 배경으로 강도높은 개혁과 변화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것이다.
◇ 노무현 재신임은 후순위 = 가장 큰 문제인 노무현 대선후보의 재신임은 후순위로 밀릴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 결과만 놓고 후보교체론까지 나가기에는 여건이 채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 후보는 13일 지방선거 결과가 나오는대로 자신이 약속했던 재신임문제를 당에 맡길 계획이다. 노 후보는 재신임을 받겠다는 입장만 밝히고 방법 등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당의 논의를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한 당직자는 “지방선거 결과만으로 후보교체론을 주장했다간 부메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지율 급락, 12월 대선 전망 부재 등 후보교체를 위한 조건이 더 갖춰져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정계개편 등 정치권 재편의 큰 그림이 있어야 가능한 얘기라는 것이다.
위의 당직자는 “8·8재보선이 끝나면 노 후보가 말하지 않더라도 재신임문제가 다시 튀어나올 것”이라며 “이때까지 당내 각세력들이 자신의 그림을 그리는 장기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