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계판매로 인한 서민피해가 확산되면서 검찰과 금감원, 시민단체 등 관계기관이 대책마련에 나섰다.
4일 서울지검 6층 회의실에서 열린 ‘다단계판매업 실태파악 및 개선방안을 위한 대책회의’에서 금감원은 최근 3년간 다단계판매 업체가 급속히 늘어나 지난해말 299개사가 영업 중이라고 밝혔다. 99년에는 124개사, 2000년에는 175개사였다. 금감원은 특히 영업 중인 다단계판매사의 10.7%인 32개사를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검찰에 통보했다고 말했다.
소비자보호원은 다단계판매와 관련된 소비자 상담이 99년 961건에서 2000년 1510건, 2001년 3541건으로 급증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집계했다. 소보원 최주호 팀장은 “다단계판매업의 허위광고와 상품강매 등의 실상에 대해 좀더 적극적인 홍보를 벌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최근 거대 다단계판매사인 SMK와 주코네트워크 등을 적발한 검찰은 다단계판매사가 △회원등록시 과다한 물품을 구매토록 하고 △부모와 형제, 직장동료 등을 상대로한 하위판매원 모집에만 혈안이 돼있으며 △질낮은 물건을 고가에 판매하는 등의 불법을 저지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지검 형사6부 정기용 부장검사는 “불법 다단계판매가 신용불량자를 양산하는 등 물의를 일으키는만큼 철저히 단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4일 서울지검 6층 회의실에서 열린 ‘다단계판매업 실태파악 및 개선방안을 위한 대책회의’에서 금감원은 최근 3년간 다단계판매 업체가 급속히 늘어나 지난해말 299개사가 영업 중이라고 밝혔다. 99년에는 124개사, 2000년에는 175개사였다. 금감원은 특히 영업 중인 다단계판매사의 10.7%인 32개사를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검찰에 통보했다고 말했다.
소비자보호원은 다단계판매와 관련된 소비자 상담이 99년 961건에서 2000년 1510건, 2001년 3541건으로 급증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집계했다. 소보원 최주호 팀장은 “다단계판매업의 허위광고와 상품강매 등의 실상에 대해 좀더 적극적인 홍보를 벌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최근 거대 다단계판매사인 SMK와 주코네트워크 등을 적발한 검찰은 다단계판매사가 △회원등록시 과다한 물품을 구매토록 하고 △부모와 형제, 직장동료 등을 상대로한 하위판매원 모집에만 혈안이 돼있으며 △질낮은 물건을 고가에 판매하는 등의 불법을 저지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지검 형사6부 정기용 부장검사는 “불법 다단계판매가 신용불량자를 양산하는 등 물의를 일으키는만큼 철저히 단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