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원구성 막바지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양당의 자민련에 대한 인식차가 원구성 타결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국회 운영에서 자민련을 소외시키면 안 된다는 민주당과 챙길 이유가 없다는 한나라당이 부의장단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기 때문.
27일 타결될 것 같던 국회 원구성 협상이 하루 늦춰진 것도 이 때문이다. 이날 한나라당 이규택 총무는 ‘의장을 차지한 당이 부의장 또는 운영위원장을 배출하도록 하자’는 새로운 안을 제시했으나 민주당 정균환 총무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회담 직후 정 총무는 “부의장을 한나라당이 가져가기 위한 안이라는 것을 뻔히 아는데 어떻게 받아들이냐”고 말했다. 결국 양 총무는 “7월 초까지는 원구성을 한다”는 원칙에만 합의하고 헤어졌다.
한나라당 내부적으로는 부의장 두 석 중 한 석을 한나라당이 가져가는 것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6·13 지방선거 이후 충청권을 자신의 지지기반으로 굳혔다고 보고 있는 한나라당내에서는 이미 ‘자민련 붕괴론’이 퍼져 있다. 상임위원장 배분을 9(한나라):8(민주):2(자민련)로 해서 자민련에게 2개의 위원장 자리를 주는 것으로도 충분한 배려라고 보고 있다.
당 한 관계자는 “부의장직 관련해서는 이미 한달 전쯤에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의장 문제가 결정되지 않았을 때는 부의장 얘기를 꺼내지 않았지만 의장이 결정된 마당에 부의장직을 넘겨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민련과의 ‘의리’를 지키기 위해 애쓰고 있는 민주당으로서는 진퇴양난이다. 자유투표로 의장을 뽑기로 합의, 한나라당 출신 의장이 나올 것이 확실해 민주당은 운영위원장 자리만은 절대 내줄 수 없다는 것이 명확한 입장이다.
그러나 그렇게 할 경우 한나라당 제의대로라면 부의장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갖게 되고, 자민련은 소외된다. 정 총무는 회담에서 “자민련을 국회에서 소외시키면 국회운영이 쉽지 않으니 정창화 전총무에게 물어보라고 했다”고 말했으나, 이에 이 총무는 “그것은 민주당 입장일 뿐”이라고 일축한 것으로 전했다.
이에 따라 양당이 서로 자기 입장을 고수할 경우 국회파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나오고 있지만 가능성은 별로 높지 않다. ‘식물국회’ 비난여론이 높아져 양당에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민주당이 생색만 내다가 운영위원장을 받고 한나라당에게 부의장을 내줌으로써 쉽게 끝날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강자인 한나라당이 양보해 부의장을 자민련에게 줄 가능성은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
한편 자민련 김학원 총무는 “양당 총무에게 전반기대로 원구성을 해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 김형선 장병호 기자 egoh@naeil.com
국회 운영에서 자민련을 소외시키면 안 된다는 민주당과 챙길 이유가 없다는 한나라당이 부의장단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기 때문.
27일 타결될 것 같던 국회 원구성 협상이 하루 늦춰진 것도 이 때문이다. 이날 한나라당 이규택 총무는 ‘의장을 차지한 당이 부의장 또는 운영위원장을 배출하도록 하자’는 새로운 안을 제시했으나 민주당 정균환 총무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회담 직후 정 총무는 “부의장을 한나라당이 가져가기 위한 안이라는 것을 뻔히 아는데 어떻게 받아들이냐”고 말했다. 결국 양 총무는 “7월 초까지는 원구성을 한다”는 원칙에만 합의하고 헤어졌다.
한나라당 내부적으로는 부의장 두 석 중 한 석을 한나라당이 가져가는 것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6·13 지방선거 이후 충청권을 자신의 지지기반으로 굳혔다고 보고 있는 한나라당내에서는 이미 ‘자민련 붕괴론’이 퍼져 있다. 상임위원장 배분을 9(한나라):8(민주):2(자민련)로 해서 자민련에게 2개의 위원장 자리를 주는 것으로도 충분한 배려라고 보고 있다.
당 한 관계자는 “부의장직 관련해서는 이미 한달 전쯤에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의장 문제가 결정되지 않았을 때는 부의장 얘기를 꺼내지 않았지만 의장이 결정된 마당에 부의장직을 넘겨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민련과의 ‘의리’를 지키기 위해 애쓰고 있는 민주당으로서는 진퇴양난이다. 자유투표로 의장을 뽑기로 합의, 한나라당 출신 의장이 나올 것이 확실해 민주당은 운영위원장 자리만은 절대 내줄 수 없다는 것이 명확한 입장이다.
그러나 그렇게 할 경우 한나라당 제의대로라면 부의장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갖게 되고, 자민련은 소외된다. 정 총무는 회담에서 “자민련을 국회에서 소외시키면 국회운영이 쉽지 않으니 정창화 전총무에게 물어보라고 했다”고 말했으나, 이에 이 총무는 “그것은 민주당 입장일 뿐”이라고 일축한 것으로 전했다.
이에 따라 양당이 서로 자기 입장을 고수할 경우 국회파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나오고 있지만 가능성은 별로 높지 않다. ‘식물국회’ 비난여론이 높아져 양당에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민주당이 생색만 내다가 운영위원장을 받고 한나라당에게 부의장을 내줌으로써 쉽게 끝날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강자인 한나라당이 양보해 부의장을 자민련에게 줄 가능성은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
한편 자민련 김학원 총무는 “양당 총무에게 전반기대로 원구성을 해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 김형선 장병호 기자 egoh@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