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중수부(김종빈 검사장)는 28일 대통령 차남 김홍업씨 고교동기인 김성환씨가 검찰 고위간부에게 이재관 전 새한그룹 부회장 무역금융 사기사건 등 내·수사 3건의 선처를 청탁했다는 의혹과 관련, 이들 사건을 수사한 주임검사 3∼4명을 불러 조사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주임검사를 소환 조사중”이라며 “아직까지 이들의 혐의는 드러난 게 없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당시 피의자를 불구속 기소하거나 내사종결하게 된 구체적 경위를 묻고 사건처리과정에 지휘부의 부당한 ‘외압’이 있었는지, 김성환씨 등으로부터 금품이나 향응을 제공받았는지 등을 집중 수사하고 있다.
2001년 초 서울지검 외사부의 이재관씨 사기혐의 사건과 2001년 초 울산지검 특수부의 ㅍ종건 유 모 회장 뇌물공여혐의 사건, 98년 7월 수원지검 특수부의 ㅁ주택 박 모 대표의 뇌물공여혐의 사건의 주임검사가 일차 소환대상자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들에 대한 소환에 앞서 서울지검 등 3개 지검 사건기록을 검토하고 당시 사건에 관계한 김씨를 비롯 피의자와 관계자를 소환해 검찰고위간부에 실제 청탁을 했는지와 수사라인에 금품 등을 제공했는지 등을 27일 조사했다.
검찰은 김성환씨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홍업씨 소개로 이 간부를 알게 됐고 사건청탁을 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와 접촉한 건설사 임직원도 “김씨가 이 간부의 이름을 자주 거론했다 ”고 진술한 것으로 검찰은 전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아직까지 이 간부의 혐의가 드러나지 않아 수사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홍업씨가 ㅅ판지 유 모 부사장으로부터 모범납세자 포상 청탁과 함께 1억원을 받은 것과 관련, 국세청 실무자 2명을 소환해 고위간부로부터 지시를 받고 포상대상자를 선정했는지를 조사했다.
검찰은 또 전 아태재단 행정실장 김 모씨를 3일째 불러 홍업씨 지시로 거액을 세탁한 경위와 대선잔여금 포함여부 등 자금의 출처 및 용도, 국정원 관련 메모 작성 경위 등을 추궁했다.
김 전 실장은 검찰조사에서 “돈의 출처와 용도에 대해 김홍업씨에게 물을 입장이 아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주임검사를 소환 조사중”이라며 “아직까지 이들의 혐의는 드러난 게 없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당시 피의자를 불구속 기소하거나 내사종결하게 된 구체적 경위를 묻고 사건처리과정에 지휘부의 부당한 ‘외압’이 있었는지, 김성환씨 등으로부터 금품이나 향응을 제공받았는지 등을 집중 수사하고 있다.
2001년 초 서울지검 외사부의 이재관씨 사기혐의 사건과 2001년 초 울산지검 특수부의 ㅍ종건 유 모 회장 뇌물공여혐의 사건, 98년 7월 수원지검 특수부의 ㅁ주택 박 모 대표의 뇌물공여혐의 사건의 주임검사가 일차 소환대상자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들에 대한 소환에 앞서 서울지검 등 3개 지검 사건기록을 검토하고 당시 사건에 관계한 김씨를 비롯 피의자와 관계자를 소환해 검찰고위간부에 실제 청탁을 했는지와 수사라인에 금품 등을 제공했는지 등을 27일 조사했다.
검찰은 김성환씨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홍업씨 소개로 이 간부를 알게 됐고 사건청탁을 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와 접촉한 건설사 임직원도 “김씨가 이 간부의 이름을 자주 거론했다 ”고 진술한 것으로 검찰은 전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아직까지 이 간부의 혐의가 드러나지 않아 수사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홍업씨가 ㅅ판지 유 모 부사장으로부터 모범납세자 포상 청탁과 함께 1억원을 받은 것과 관련, 국세청 실무자 2명을 소환해 고위간부로부터 지시를 받고 포상대상자를 선정했는지를 조사했다.
검찰은 또 전 아태재단 행정실장 김 모씨를 3일째 불러 홍업씨 지시로 거액을 세탁한 경위와 대선잔여금 포함여부 등 자금의 출처 및 용도, 국정원 관련 메모 작성 경위 등을 추궁했다.
김 전 실장은 검찰조사에서 “돈의 출처와 용도에 대해 김홍업씨에게 물을 입장이 아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