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지난 1일부터 추진한 노상주차장 유료화 시행에 대한 찬반 양론이 팽팽해지고 있다.
화정 원당 등 다세대 주택 밀집지역 주민들은 “가득이나 주택별로 주차장 확보가 안돼 있는 상황에서 인근도로에 주차료를 징수하면서 주차선이 없는 도로에 차들이 몰리고 있어 도로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며 유료화에 반발하고 있다.
반면 역세권 등 중심 상업지구 상인들은 불법 주정차로 인한 피해보다는 노외 주차장의 유료화에 손을 들어주는 입장이다.
고양시 일산신도시 주엽동의 한 대형빌딩 1층 매장 한 모씨는 “인근 도로의 불법 주정차로 인해 물건 하역 작업 등이 불가능했던 상황에서 유료화로 인해 도로의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유료화에 찬성 입장을 보였다.
고양시는 불법 주정차로 인한 교통체증을 원인으로 지적하면서 14개소에 1560면의 주차공간을 마련하고 1일부터 주차료를 징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고양시민’이라는 아이디로 시 홈페이지에 글은 올린 민원인은 “주택가 곳곳에 그어진 주차선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은 한 달에 6만원 이상의 주차비를 지불하면서 생활해야 한다. 밤에는 주차비를 징수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월차라도 내는 날에는 주차비를 내고 집앞에 주차해야할 형편이다”며 유료 주차장에 대한 부담감을 호소했다.
그러나 고양시는 유료주차제 시행으로 주차장내 주차차량의 회전율이 증가돼 주차장 부족으로 발생했던 주변도로 불법주차행위 등이 감소될 것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혀 주차장 유료화 시행을 놓고 주민과의 마찰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화정 원당 등 다세대 주택 밀집지역 주민들은 “가득이나 주택별로 주차장 확보가 안돼 있는 상황에서 인근도로에 주차료를 징수하면서 주차선이 없는 도로에 차들이 몰리고 있어 도로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며 유료화에 반발하고 있다.
반면 역세권 등 중심 상업지구 상인들은 불법 주정차로 인한 피해보다는 노외 주차장의 유료화에 손을 들어주는 입장이다.
고양시 일산신도시 주엽동의 한 대형빌딩 1층 매장 한 모씨는 “인근 도로의 불법 주정차로 인해 물건 하역 작업 등이 불가능했던 상황에서 유료화로 인해 도로의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유료화에 찬성 입장을 보였다.
고양시는 불법 주정차로 인한 교통체증을 원인으로 지적하면서 14개소에 1560면의 주차공간을 마련하고 1일부터 주차료를 징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고양시민’이라는 아이디로 시 홈페이지에 글은 올린 민원인은 “주택가 곳곳에 그어진 주차선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은 한 달에 6만원 이상의 주차비를 지불하면서 생활해야 한다. 밤에는 주차비를 징수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월차라도 내는 날에는 주차비를 내고 집앞에 주차해야할 형편이다”며 유료 주차장에 대한 부담감을 호소했다.
그러나 고양시는 유료주차제 시행으로 주차장내 주차차량의 회전율이 증가돼 주차장 부족으로 발생했던 주변도로 불법주차행위 등이 감소될 것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혀 주차장 유료화 시행을 놓고 주민과의 마찰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