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구시가 위천공단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나서면서 경남지역 민심이 술렁이고 있다.
경남도와 지역 환경단체 등은 24일 합동간담회를 통해 “부산·울산·경남 시민단체 간담회와 세 지역 민·관 합동간담회 등을 잇따라 열어 낙동강 수질개선 없는 위천공단 건설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남총궐기본부는 부산과 울산 시민·환경단체 등과 연대방안을 계속 논의해나가는 한편,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과 접촉을 갖고 위천공단 반대를 위한 분명한 입장 표명을 촉구하기로 했다.
낙동강 수질상태와 오염 원인도 재조명되고 있다.
경남발전연구원 윤성윤 박사는 최근 발표한 ‘위천공단 조성 불가논리’ 소논문에서 “대구지역의 경우, 생활오수를 제외한 폐수만 하루 49만1000톤에 달해 낙동강 기준갈수량(최저수량) 1일 286만8480톤의 17%, 평균갈수량(갈수기간 평균) 382만7520톤의 13%에 이른다”며 “2급수 초과일 비율이 47%를 보인 지난해부터 다시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박사는 또 “주요 공단이 위치한 상수원의 수질 분석에는 BOD 분석보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훨씬 더 유효한 지표로 기능을 한다”며 “낙동강의 경우 COD가 82년 4.1에서 96년 9.2, 98년 5.9, 2000년 6.5mg/l로 악화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낙동강의 BOD 대비 COD 비율은 82년 1.11에서 96년 1.92로 높아졌다가 지난 2000년에는 2.41로까지 상승, 생활오수에 비해 생물학적 난분해성 물질의 농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한편 최근 건교부는 대구시에 ‘한강수계의 물을 낙동강 수계로 끌어가는 낙동강프로젝트는 불가하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도와 지역 환경단체 등은 24일 합동간담회를 통해 “부산·울산·경남 시민단체 간담회와 세 지역 민·관 합동간담회 등을 잇따라 열어 낙동강 수질개선 없는 위천공단 건설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남총궐기본부는 부산과 울산 시민·환경단체 등과 연대방안을 계속 논의해나가는 한편,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과 접촉을 갖고 위천공단 반대를 위한 분명한 입장 표명을 촉구하기로 했다.
낙동강 수질상태와 오염 원인도 재조명되고 있다.
경남발전연구원 윤성윤 박사는 최근 발표한 ‘위천공단 조성 불가논리’ 소논문에서 “대구지역의 경우, 생활오수를 제외한 폐수만 하루 49만1000톤에 달해 낙동강 기준갈수량(최저수량) 1일 286만8480톤의 17%, 평균갈수량(갈수기간 평균) 382만7520톤의 13%에 이른다”며 “2급수 초과일 비율이 47%를 보인 지난해부터 다시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박사는 또 “주요 공단이 위치한 상수원의 수질 분석에는 BOD 분석보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훨씬 더 유효한 지표로 기능을 한다”며 “낙동강의 경우 COD가 82년 4.1에서 96년 9.2, 98년 5.9, 2000년 6.5mg/l로 악화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낙동강의 BOD 대비 COD 비율은 82년 1.11에서 96년 1.92로 높아졌다가 지난 2000년에는 2.41로까지 상승, 생활오수에 비해 생물학적 난분해성 물질의 농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한편 최근 건교부는 대구시에 ‘한강수계의 물을 낙동강 수계로 끌어가는 낙동강프로젝트는 불가하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