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를 통한 노동자 감시와 통제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주장이 노동단체들에 의해 제기됐다.
민주노총, 민변, 민주노동당,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등 노동시민단체로 구성된 ‘노동자감시 근절을 위한 연대모임’측은 1일 기자회견을 갖고 사업장에서 벌어지는 노동자감시 사례를 고발했다.
이들에 따르면 “광명성애병원의 경우 각 병동 간호사실을 향해서 각 1대씩 10대, 응급실 4대, 강당 3대 등 총 33대를 설치해 간호사들의 행동을 감시”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병원측은 “병동의 보수공사 계획때부터 설치계획이 있던 것으로 환자와 보호자의 난동과 무단출입 통제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밝혔다.
또한 분뇨수거처리 업체인 광주환경위생의 경우 “관리직들이 켐코더로 작업현장을 촬영하고, CCTV를 옥상에 설치해 작업차량의 출입상황을 감시”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전북 익산의 (주)대용은 최초로 노동자감시를 파업을 벌인 사례로 꼽힌다. 2001년 공장측에서 사전통보없이 공장내에 8대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해 이를 철거할 것을 요구하면 파업을 벌였다.
이밖에도 부동산텔레비전, 전북고속, 경북대병원, 파티마병원, 한라병원 등이 CCTV를 설치해 노동자들의 행동을 감시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연대모임’측은 “비인간적이고 반노동자적인 카메라 감시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면서 “노동자에 대한 감시가 중단되고 노동자의 존엄성과 프라이버시권을 지키기 위한 법과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들은 앞으로 “감시카메라외에도 다양한 감시기술에 대한 지침을 만들어 나갈 것이며, 노동자 감시가 근절될 때까지 함께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민변, 민주노동당,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등 노동시민단체로 구성된 ‘노동자감시 근절을 위한 연대모임’측은 1일 기자회견을 갖고 사업장에서 벌어지는 노동자감시 사례를 고발했다.
이들에 따르면 “광명성애병원의 경우 각 병동 간호사실을 향해서 각 1대씩 10대, 응급실 4대, 강당 3대 등 총 33대를 설치해 간호사들의 행동을 감시”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병원측은 “병동의 보수공사 계획때부터 설치계획이 있던 것으로 환자와 보호자의 난동과 무단출입 통제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밝혔다.
또한 분뇨수거처리 업체인 광주환경위생의 경우 “관리직들이 켐코더로 작업현장을 촬영하고, CCTV를 옥상에 설치해 작업차량의 출입상황을 감시”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전북 익산의 (주)대용은 최초로 노동자감시를 파업을 벌인 사례로 꼽힌다. 2001년 공장측에서 사전통보없이 공장내에 8대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해 이를 철거할 것을 요구하면 파업을 벌였다.
이밖에도 부동산텔레비전, 전북고속, 경북대병원, 파티마병원, 한라병원 등이 CCTV를 설치해 노동자들의 행동을 감시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연대모임’측은 “비인간적이고 반노동자적인 카메라 감시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면서 “노동자에 대한 감시가 중단되고 노동자의 존엄성과 프라이버시권을 지키기 위한 법과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들은 앞으로 “감시카메라외에도 다양한 감시기술에 대한 지침을 만들어 나갈 것이며, 노동자 감시가 근절될 때까지 함께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