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호우경보가 내렸다. 30∼50mm의 집중호우가 쏟아졌다. 주택과 농경지 등 곳곳이 침수돼 비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서울 양천구 강서구 등 저지대 주민들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물난리를 겪고 있다. 주민들은 1년마다 되풀이되는 비 피해에 참담한 심정이다.
매년 수해대책은 발표되지만 장마철이면 당하는 피해는 똑같기 때문이다. 본지가 7월 19일자(440호)에서 수해위험이 여전히 높다고 경고한 지역들도 어김없이 물난리를 겪었다. 이곳 주민들은 ‘인재’라며 분노하고 있다.
수해대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데다 재해비상연락 시스템 조차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 집중호우 때 재해비상연락 시스템인 ‘재해자동음성통보시스템’조차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양천구청 하수과 관계자는 “중앙재해대책본부에서 발표한 호우주의보에 따라‘재해자동음성통보시스템’을 발동하는데 갑작스럽게 쏟아지는 폭우는 중앙재해대책본부도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럴 경우 시스템 자체가 의미가 없다”며 “4일 집중호우 당시는 호우주의보 3단계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서 “발령된‘재해자동음성통보시스템’도 상당수 주민들은 핸드폰과 전화를 받지 않아 전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재해자동음성통보시스템’은 집중호우가 쏟아진 상황에서는 전혀 쓸모가 없다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행정자치부에서 중랑천 안양천 주변 11개 구청에 4000만원씩 모두 4억4000만원을 지원, 2000년 12월부터 설치작업을 벌인 후 지난달 가동을 시작했다. 서울시는 “첨단 경보장치가 설치됐으므로 게릴라성 호우에도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홍보했었다. 또한 저지대 수해지역 주민들은 “근본적으로 저지대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침수를 당한 양천구 신월1동 주민들은 저지대이기 때문에 빗물이 집중하지만 복개한 곳이라 하수관로 안에 흙이 싸여 물이 빠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피해주민은 “구청의 준설작업이 제대로 안됐고 빗물펌프장이 제대로 작동했는 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천구 하수과 김경기 과장은 “저지대의 경우 인근 지역의 빗물이 몰려 하수관로 용량을 넘치게 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양천구는 빨라야 2005년에야 대책이 완료된다. 앞으로 2년간 비 피해에는 별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수해대책이 올 5월에 되어서야 용역발주가 되는 등 행정기관의 늑장대응이 비난을 받고 있다.
/ 김형수 이경기 기자 hskim@naeil.com
매년 수해대책은 발표되지만 장마철이면 당하는 피해는 똑같기 때문이다. 본지가 7월 19일자(440호)에서 수해위험이 여전히 높다고 경고한 지역들도 어김없이 물난리를 겪었다. 이곳 주민들은 ‘인재’라며 분노하고 있다.
수해대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데다 재해비상연락 시스템 조차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 집중호우 때 재해비상연락 시스템인 ‘재해자동음성통보시스템’조차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양천구청 하수과 관계자는 “중앙재해대책본부에서 발표한 호우주의보에 따라‘재해자동음성통보시스템’을 발동하는데 갑작스럽게 쏟아지는 폭우는 중앙재해대책본부도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럴 경우 시스템 자체가 의미가 없다”며 “4일 집중호우 당시는 호우주의보 3단계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서 “발령된‘재해자동음성통보시스템’도 상당수 주민들은 핸드폰과 전화를 받지 않아 전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재해자동음성통보시스템’은 집중호우가 쏟아진 상황에서는 전혀 쓸모가 없다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행정자치부에서 중랑천 안양천 주변 11개 구청에 4000만원씩 모두 4억4000만원을 지원, 2000년 12월부터 설치작업을 벌인 후 지난달 가동을 시작했다. 서울시는 “첨단 경보장치가 설치됐으므로 게릴라성 호우에도 인명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홍보했었다. 또한 저지대 수해지역 주민들은 “근본적으로 저지대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침수를 당한 양천구 신월1동 주민들은 저지대이기 때문에 빗물이 집중하지만 복개한 곳이라 하수관로 안에 흙이 싸여 물이 빠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피해주민은 “구청의 준설작업이 제대로 안됐고 빗물펌프장이 제대로 작동했는 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천구 하수과 김경기 과장은 “저지대의 경우 인근 지역의 빗물이 몰려 하수관로 용량을 넘치게 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양천구는 빨라야 2005년에야 대책이 완료된다. 앞으로 2년간 비 피해에는 별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수해대책이 올 5월에 되어서야 용역발주가 되는 등 행정기관의 늑장대응이 비난을 받고 있다.
/ 김형수 이경기 기자 hs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