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동에 위치한 정보사가 2005년까지 이전함에 따라 정보사부지 활용을 놓고 서울시와 서
초구가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방부가 부지를 일반 매각할 가능성이 커 개발 논
란이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서초구와 주민들은 녹지훼손과 부동산 가격 상승을 야기할 수 있는 정보사 부지
개발에 대해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크게 반발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서초구는 지난 23일 ‘정보사 이전부지 활용방안’이란 보고서를 통해 정보사가 이전하는 부지의 녹지공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념관이나 미술관 등을 유치해 공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부지매입을 서울시에 건의했었다.
그러나 재정적인 어려움을 들어 이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는 서울시는 이 곳에 저밀도 주택
단지를 조성해 개발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 곳이 공원으로 조성되기 위해서는 서울시가 정보사 부지 총 면적 5만5000여평 중 도로·
공원으로 계획된 2만 5000여평을 제외한 3만여평을 국방부로부터 매입해야한다. 그러나 서
울시는 약 2000∼3000억원에 달하는 매입대금 때문에 서초구의 건의가 달갑지 않은 상황이
고 매입대금 전부를 서울시가 내야한다는 데에서도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서울시의 입장이 뚜렷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시가 매입대금 전부
를 부담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서초구가 다소 엉뚱한 주장을 하고 있다”고 반감을 드
러냈다.
이에 대해 서초구는“이 지역이 개발될 경우 녹지 훼손은 불을 보듯 뻔하다”며“서울시가
여태껏 주거환경과 자연환경 등을 고려해 재건축 아파트의 용적률을 하향조정하고 이명박
시장 역시 청계천 복개를 주장하는 등 환경문제에 관심을 보였는데 이제 와서 도심 녹지에
주택지구를 건설하겠다는 건 이치에 맞지 않는 주장”이라며 반발했다.
국방부 일반매각하면 주택지구로 개발 불가피
서울시가 만일 정보사 부지 전체를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을 세우면 부지매입 우선권자가 돼 일반매각 전에 공시지가로 부지를 매입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처럼 부지매입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일 경우 국방부가 서울시와 협의 없이 단독으로 부지를 일반 매각하더라도 막을 방법이 없다. 토지의 소유권자가 국방부이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서울시에 토지를 매각하는 것보다 일반에 매각하면 월등히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어 정보사 부지에 공원이나 기념관 설립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일부에서는 벌써부터 건설회사들이 정보사 부지를 매입하기 위해 발빠르게 뛰고 있다는 후
문이다.
국방부가 정보사 부지를 일반에 매각하면 주택개발은 불가피하다. 이 지역은 일반주거지역
이라 서울시가 지구단위계획만 확정하면 주택을 건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지구단위계획을 세울 때 이 지역의 용적률이 어떻게 결정될 것인가 하는 데 있다.
서울시는 용적률 결정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국방부의 토지 매각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부동산 업자들은 이 지역이 강남의 마지막 남은‘노른자위 중의 노른자위’이
란 점을 들어 1종 주거지역(용적률 150%)으로 결정 나더라도 수익성은 얼마든지 있다고 말
한다.
“명분 없는 주택개발 될 것”
일부 부동산 업자들은“정보사 부지가 서울시 주택난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
을 만큼 대규모도 아니고 일반 서민이 들어와서 살 수 있을 만큼 가격이 낮은 지역이 아니
기 때문에 결국 고급빌라나 고급아파트가 들어설 수밖에 없다”며“누구를 위한 주택개발인
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지역이 개발되면 평당 2000만원을 호가할 정도로 비
싼 주택이 들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보사 부지는 도심 녹지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철 7호선 내봉역과 2호선 서초역과 근접해
있어 지리적으로 부동산 가치가 매우 높게 평가돼 왔었다.
서초구는 서울시가 재정적 문제 때문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에 대해 “대기업들과 협
의해 정보사 부지에 기념관이나 미술관 등을 유치하고 토지는 기부 체납하는 방법 등 대안
은 의지가 있으면 대안은 얼마든지 있다”고 강조했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초구가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방부가 부지를 일반 매각할 가능성이 커 개발 논
란이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서초구와 주민들은 녹지훼손과 부동산 가격 상승을 야기할 수 있는 정보사 부지
개발에 대해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크게 반발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서초구는 지난 23일 ‘정보사 이전부지 활용방안’이란 보고서를 통해 정보사가 이전하는 부지의 녹지공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념관이나 미술관 등을 유치해 공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부지매입을 서울시에 건의했었다.
그러나 재정적인 어려움을 들어 이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는 서울시는 이 곳에 저밀도 주택
단지를 조성해 개발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 곳이 공원으로 조성되기 위해서는 서울시가 정보사 부지 총 면적 5만5000여평 중 도로·
공원으로 계획된 2만 5000여평을 제외한 3만여평을 국방부로부터 매입해야한다. 그러나 서
울시는 약 2000∼3000억원에 달하는 매입대금 때문에 서초구의 건의가 달갑지 않은 상황이
고 매입대금 전부를 서울시가 내야한다는 데에서도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서울시의 입장이 뚜렷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시가 매입대금 전부
를 부담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서초구가 다소 엉뚱한 주장을 하고 있다”고 반감을 드
러냈다.
이에 대해 서초구는“이 지역이 개발될 경우 녹지 훼손은 불을 보듯 뻔하다”며“서울시가
여태껏 주거환경과 자연환경 등을 고려해 재건축 아파트의 용적률을 하향조정하고 이명박
시장 역시 청계천 복개를 주장하는 등 환경문제에 관심을 보였는데 이제 와서 도심 녹지에
주택지구를 건설하겠다는 건 이치에 맞지 않는 주장”이라며 반발했다.
국방부 일반매각하면 주택지구로 개발 불가피
서울시가 만일 정보사 부지 전체를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을 세우면 부지매입 우선권자가 돼 일반매각 전에 공시지가로 부지를 매입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처럼 부지매입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일 경우 국방부가 서울시와 협의 없이 단독으로 부지를 일반 매각하더라도 막을 방법이 없다. 토지의 소유권자가 국방부이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서울시에 토지를 매각하는 것보다 일반에 매각하면 월등히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어 정보사 부지에 공원이나 기념관 설립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일부에서는 벌써부터 건설회사들이 정보사 부지를 매입하기 위해 발빠르게 뛰고 있다는 후
문이다.
국방부가 정보사 부지를 일반에 매각하면 주택개발은 불가피하다. 이 지역은 일반주거지역
이라 서울시가 지구단위계획만 확정하면 주택을 건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지구단위계획을 세울 때 이 지역의 용적률이 어떻게 결정될 것인가 하는 데 있다.
서울시는 용적률 결정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국방부의 토지 매각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부동산 업자들은 이 지역이 강남의 마지막 남은‘노른자위 중의 노른자위’이
란 점을 들어 1종 주거지역(용적률 150%)으로 결정 나더라도 수익성은 얼마든지 있다고 말
한다.
“명분 없는 주택개발 될 것”
일부 부동산 업자들은“정보사 부지가 서울시 주택난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
을 만큼 대규모도 아니고 일반 서민이 들어와서 살 수 있을 만큼 가격이 낮은 지역이 아니
기 때문에 결국 고급빌라나 고급아파트가 들어설 수밖에 없다”며“누구를 위한 주택개발인
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 지역이 개발되면 평당 2000만원을 호가할 정도로 비
싼 주택이 들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보사 부지는 도심 녹지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철 7호선 내봉역과 2호선 서초역과 근접해
있어 지리적으로 부동산 가치가 매우 높게 평가돼 왔었다.
서초구는 서울시가 재정적 문제 때문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에 대해 “대기업들과 협
의해 정보사 부지에 기념관이나 미술관 등을 유치하고 토지는 기부 체납하는 방법 등 대안
은 의지가 있으면 대안은 얼마든지 있다”고 강조했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