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자 의문사'진상규명 촉구
민주노총은 6일 오전 서울 영등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박창수, 신호수, 정경식, 오범근씨 등 역대 정권 하에서 의문의 죽음을 당한 10명의 노동자들에 대한 사인규명을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회견에서 “최근 박창수 전 한진중공업노조 위원장이 ‘타살됐다’는 법의학 감정이 나와 의문의 실마리가 잡혔으나, 국가기관이 수사에 협조하지 않아 진실규명이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또한 “대우중공업 정경식씨 또한 살해됐다는 사실이 입증됐으나, 국가기관의 비협조로 수사가 제자리 상태”라면서, “광무택시 문용섭, 대원전기 오범근씨도 진실의 실체가 밝혀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 체불임금 청산요구 고공농성
대주건설(주) 건설일용노동자 4명이 5일 오전 9시부터 마포구 망원동 한강대주파크빌 현장 타워크레인에서 임금체불에 항의해 고공농성에 들어갔다. 대주건설(주)소속 일용노동자 100여명은 2∼4개월가량 총 3억여원에 이르는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지역 건설일용노조(위원장 김종태)에 따르면 이들은 그동안 회사측에 밀린 임금의 청산을 요구하며 계속 교섭을 요구하고, 집회 등을 개최했지만 사측은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서울지역 건설일용노조 김종태 위원장은 “이번 타워크레인 농성이 사측의 성의 있는 해결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무기한으로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말해 향후 지속적인 활동을 다짐했다.
■ “매각소위에 대한 압력 중단하라”
서울은행노조는 5일 “매각소위원회까지 압박하는 노골적 합병음모를 중단하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노조는 이날 성명에서 “매각소위원회가 인수제안서와 골드만삭스의 심사의견서를 토대로 소신껏 평가하면 될 것을 정부가 무엇 때문에 조급해 하느냐”의문을 제기했다.
이들은 또 ‘주식보다 현금을 택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주식평가 방법의 문제, 공적자금 회수의 수년간 연기, 불확실한 미래가치에 기초한 평가 등 특정은행에 엄청난 특혜를 제공하면서까지 공적자금의 회수를 더디게 하는 까닭에 대해 의문스럽다고 주장했다.
한편 노조는 “정부의 은행대형화 정책이 금융산업 구조조정의 왕도라는 미몽에서 스스로 깨어나기를 바라며, 이는 금융산업 발전과 산업평화를 위해 불행한 사태를 방지하고자 하는 충정”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6일 오전 서울 영등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박창수, 신호수, 정경식, 오범근씨 등 역대 정권 하에서 의문의 죽음을 당한 10명의 노동자들에 대한 사인규명을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회견에서 “최근 박창수 전 한진중공업노조 위원장이 ‘타살됐다’는 법의학 감정이 나와 의문의 실마리가 잡혔으나, 국가기관이 수사에 협조하지 않아 진실규명이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또한 “대우중공업 정경식씨 또한 살해됐다는 사실이 입증됐으나, 국가기관의 비협조로 수사가 제자리 상태”라면서, “광무택시 문용섭, 대원전기 오범근씨도 진실의 실체가 밝혀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 체불임금 청산요구 고공농성
대주건설(주) 건설일용노동자 4명이 5일 오전 9시부터 마포구 망원동 한강대주파크빌 현장 타워크레인에서 임금체불에 항의해 고공농성에 들어갔다. 대주건설(주)소속 일용노동자 100여명은 2∼4개월가량 총 3억여원에 이르는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지역 건설일용노조(위원장 김종태)에 따르면 이들은 그동안 회사측에 밀린 임금의 청산을 요구하며 계속 교섭을 요구하고, 집회 등을 개최했지만 사측은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서울지역 건설일용노조 김종태 위원장은 “이번 타워크레인 농성이 사측의 성의 있는 해결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무기한으로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말해 향후 지속적인 활동을 다짐했다.
■ “매각소위에 대한 압력 중단하라”
서울은행노조는 5일 “매각소위원회까지 압박하는 노골적 합병음모를 중단하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노조는 이날 성명에서 “매각소위원회가 인수제안서와 골드만삭스의 심사의견서를 토대로 소신껏 평가하면 될 것을 정부가 무엇 때문에 조급해 하느냐”의문을 제기했다.
이들은 또 ‘주식보다 현금을 택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주식평가 방법의 문제, 공적자금 회수의 수년간 연기, 불확실한 미래가치에 기초한 평가 등 특정은행에 엄청난 특혜를 제공하면서까지 공적자금의 회수를 더디게 하는 까닭에 대해 의문스럽다고 주장했다.
한편 노조는 “정부의 은행대형화 정책이 금융산업 구조조정의 왕도라는 미몽에서 스스로 깨어나기를 바라며, 이는 금융산업 발전과 산업평화를 위해 불행한 사태를 방지하고자 하는 충정”이라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