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정, 장준하 ‘위해분자’ 분류 감시
의문사위, 중정작성 6쪽짜리 보고서 공개 … 장씨 사망 당일 기록은 증발
지역내일
2002-08-08
(수정 2002-08-09 오후 1:59:10)
지난 1975년 경기도 포천군 약사봉을 등반하다의문의 죽음을 당한 재야 지도자 고 장준하씨는 당시 중앙정보부에 의해 정권에 해가되는 ‘위해(危害)분자’로 분류됐으며 조직적인 프락치 활용 등을 통해 밀착 감시가 이뤄졌음이 국정원이 보내 온 당시 중정 문서에 의해 드러났다.
8일 의문사진상규명위에 따르면 당시 장씨를 담당했던 중정 6국5과 박 모 계장은 75년 3월 31일 ‘위해분자 관찰계획 보고’라는 제목의 6쪽짜리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장씨를 “현 정책을 비방하고 반체제활동을 조정하는 인물”로 묘사하며 범법자료를 모아 처벌하겠다고 보고했다고 밝혔다.
고위급 간부의 결재를 받은 이 보고서에서 박 계장은 국가원수 모독이나 유신헌법 반대행위는 물론 스캔들까지도 감시대상으로 삼은 것으로 드러나 중정이 장씨를 옭아매기 위해 개인적 약점까지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상규명위 고위관계자는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박 계장은 정보과장 등 관할경찰서 인력을 동원, 하루 한차례 이상 일일동향을 파악하게 한 것은 물론, 당시 장씨와 같은 정당에서 활동한 윤 모씨를 프락치로 활용해 정치활동을 감시하게 했으며 특히 감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시로 프락치를 교체하면서 프락치간 경쟁까지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우편검열 등을 통해 용의점이 드러날 경우, 미행이나 감시는 물론 ''각급 첩보 보고서''를 비교해 정보를 파악하도록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관계자는 “이 보고서와 지금까지 국정원이 보내 온 자료에 의하면 장씨에 대한 밀착 감시가 꾸준히 이뤄졌음이 입증됐음에도 유독 사망당일 기록만 없다는 것은납득할 수 없다”며 “박 계장이 최근 다른 부서에 관련자료가 많다는 진술을 한 만큼 국정원은 비협조적이라는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실지조사에 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8일 의문사진상규명위에 따르면 당시 장씨를 담당했던 중정 6국5과 박 모 계장은 75년 3월 31일 ‘위해분자 관찰계획 보고’라는 제목의 6쪽짜리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장씨를 “현 정책을 비방하고 반체제활동을 조정하는 인물”로 묘사하며 범법자료를 모아 처벌하겠다고 보고했다고 밝혔다.
고위급 간부의 결재를 받은 이 보고서에서 박 계장은 국가원수 모독이나 유신헌법 반대행위는 물론 스캔들까지도 감시대상으로 삼은 것으로 드러나 중정이 장씨를 옭아매기 위해 개인적 약점까지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상규명위 고위관계자는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박 계장은 정보과장 등 관할경찰서 인력을 동원, 하루 한차례 이상 일일동향을 파악하게 한 것은 물론, 당시 장씨와 같은 정당에서 활동한 윤 모씨를 프락치로 활용해 정치활동을 감시하게 했으며 특히 감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시로 프락치를 교체하면서 프락치간 경쟁까지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우편검열 등을 통해 용의점이 드러날 경우, 미행이나 감시는 물론 ''각급 첩보 보고서''를 비교해 정보를 파악하도록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관계자는 “이 보고서와 지금까지 국정원이 보내 온 자료에 의하면 장씨에 대한 밀착 감시가 꾸준히 이뤄졌음이 입증됐음에도 유독 사망당일 기록만 없다는 것은납득할 수 없다”며 “박 계장이 최근 다른 부서에 관련자료가 많다는 진술을 한 만큼 국정원은 비협조적이라는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실지조사에 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