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아파트 입주민들이 관리업체 선정과 관련한 문제를 제기해 파문이 일고 있다.
원주시 명륜1동 현대1차 아파트 입주민들은 최근 전 동대표를 중심으로 모임을 갖고 유류비의 6000천만원 절감해주겠다고 나선 업체(한국주택관리)가 있었으나 입주민들의 동의를 받지 못한 이유 등에 대해 현 입주자대표회의측에 공개질의를 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공개질의서에서 한국주택관리가 입주자의 동의를 받지 못하고 태성주택이 위탁관리업체로 재선정 된 사유 등 네 가지 항목을 공개 질의했다.
입주자대표회의는 지난달 30일 답변서를 공개했다. 답변서에 의하면 위탁관리업체는 1차로 한국주택관리가 선정됐으나 2차로 관리소장과 직원을 동원하여 입주민의 동의를 받는 과정에서 동의에 참여치 않아 무산됐다고 밝혔다.
3월8일로 위탁계약관리계약이 만료되자 관리업체선정공고를 냈고 4월8일 입주자대표회의에서 투표를 통해 찬성 4, 반대 2로 한국주택관리를 선정했으나 2차 동의 과정에 입주민이 참여치 않아 무산됐다는 것이다.
투표 당시 업체 선정에 찬성했던 전 동대표 회장 김만봉씨는 “입주민의 동의를 받는 과정에서 한국주택관리의 업체선정에 반대하는 측이 무산시켰다”고 주장했다.
반대표를 던졌던 오정숙 102동대표는 “동의서를 관리소장이 돌려서 만류했다”고 밝힌 뒤 “동대표 3명과 위임장을 받은 1명의 찬성표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관리업체 변경에 찬성했던 측(김만봉씨외 3인)은 1년 난방비를 6000만 가량 절감해주겠다고 제안한 업체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김 씨에 따르면 인근의 2차 현대아파트의 경우 1차 아파트와 구조가 비슷하고 같은 중앙집중방식임에도 지난해 3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년 동안의 난방비를 비교할 경우 현 관리업체인 태성주택이 관리하고 있는 1차 현대아파트의 난방비가 더 높다.
오정숙씨는 “600만원도 아니고 6000만원은 터무니없이 너무 많은 액수”라고 주장했다. 한국주택의 제안을 믿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현재 전 동대표를 중심으로 한 일부 주민들은 관리업체선정 이외에도 경리회계상의 문제, 관리소장 인사이동의 부당성 등에 대해서도 현 관리업체 및 입주자대표회의를 상대로 공개질의하는 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원주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원주시 명륜1동 현대1차 아파트 입주민들은 최근 전 동대표를 중심으로 모임을 갖고 유류비의 6000천만원 절감해주겠다고 나선 업체(한국주택관리)가 있었으나 입주민들의 동의를 받지 못한 이유 등에 대해 현 입주자대표회의측에 공개질의를 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공개질의서에서 한국주택관리가 입주자의 동의를 받지 못하고 태성주택이 위탁관리업체로 재선정 된 사유 등 네 가지 항목을 공개 질의했다.
입주자대표회의는 지난달 30일 답변서를 공개했다. 답변서에 의하면 위탁관리업체는 1차로 한국주택관리가 선정됐으나 2차로 관리소장과 직원을 동원하여 입주민의 동의를 받는 과정에서 동의에 참여치 않아 무산됐다고 밝혔다.
3월8일로 위탁계약관리계약이 만료되자 관리업체선정공고를 냈고 4월8일 입주자대표회의에서 투표를 통해 찬성 4, 반대 2로 한국주택관리를 선정했으나 2차 동의 과정에 입주민이 참여치 않아 무산됐다는 것이다.
투표 당시 업체 선정에 찬성했던 전 동대표 회장 김만봉씨는 “입주민의 동의를 받는 과정에서 한국주택관리의 업체선정에 반대하는 측이 무산시켰다”고 주장했다.
반대표를 던졌던 오정숙 102동대표는 “동의서를 관리소장이 돌려서 만류했다”고 밝힌 뒤 “동대표 3명과 위임장을 받은 1명의 찬성표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관리업체 변경에 찬성했던 측(김만봉씨외 3인)은 1년 난방비를 6000만 가량 절감해주겠다고 제안한 업체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김 씨에 따르면 인근의 2차 현대아파트의 경우 1차 아파트와 구조가 비슷하고 같은 중앙집중방식임에도 지난해 3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년 동안의 난방비를 비교할 경우 현 관리업체인 태성주택이 관리하고 있는 1차 현대아파트의 난방비가 더 높다.
오정숙씨는 “600만원도 아니고 6000만원은 터무니없이 너무 많은 액수”라고 주장했다. 한국주택의 제안을 믿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현재 전 동대표를 중심으로 한 일부 주민들은 관리업체선정 이외에도 경리회계상의 문제, 관리소장 인사이동의 부당성 등에 대해서도 현 관리업체 및 입주자대표회의를 상대로 공개질의하는 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원주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