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공무원들은 공무원직장협의회(회장 최경호·공직협)가 직원들의 근무환경과 인사제
도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공직협이 공무원노조로 전환해야 한
다는데 70%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직협이 직장협의회 활성화 및 공직사회의 불합리한 제도·관행개선 등을
위해 지난 7월18일부터 20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설문 대상은 6급 이
하 전직원(1307명)이며 이 중 785명(60%)이 설문에 응답했다.
◇ 공직협 활동관련 = 조사 결과, 대다수 시 직원들은 공직협이 ‘회원들에게 꼭 필요한 단체로 활동을 잘 할 것(76.2%)’이라고 응답, 직협 활동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으며 공직협의 노조전환에 대해서도 노동3권 확보를 위해 찬성한다는 의견이 70.7%를 차지했다.
공직협이 추진해야 할 우선 과제로는 비상근무, 당직, 회의참석 등 근무환경 개선(31.7%)과 인사제도 개선(27.5%)을 꼽았다.
이와 관련, 직원들은 지역연고에 의한 인사(43.1%)를 가장 불합리한 인사관행으로 꼽았고, 특정부서 출신 우대(31.6%), 정치적 연줄(논공행상)에 의한 인사(16.8%), 외부단체의 인사개입(7.5%)등이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또 인사제도 개선방법으로 인사용인, 일정, 방침 등을 사전에 공개하는 인사예고제 시행(36.7%)을 가장 선호했고, 인사예고제 시행여부에 대해서도 75.3%가 찬성했다. 그 외에는 인사기록 개별공개(33.1%), 다면평가제 확대운영(20.8%), 공직협 추천인사 인사위 참여(6.1%) 순으로 응답했다.
◇ 근무환경 관련 = 안산시 직원들은 시청 주차시설 유료화에 대해 찬성한다(44.3%)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유료화할 경우 2만원(73.0%)이 가장 적정한 금액이라고 답했다. 물품가격이 비싼 편인 시청 구내매점 운영문제에 대해서는 시 직장금고가 운영(79.0%)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성과급 지급방식은 응답자의 69.7%가 ‘부서별로 성과에 따라 지급하고 부서장이 집행하는 방법’을 선호했고, 현재 시행하고 있는 목표관리제는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로 폐지해야 한다(82.8%)고 답했다.
◇ 업무개선 등 = 기자실 운영에 대해 시 직원들은 브리핑룸 등 개방형공간으로 전환(46.4%)하자는 의견과 폐쇄해야 한다(44.2%)는 의견이 비슷했다. 기자실을 폐쇄해야하는 이유로는 기자들의 그릇된 행태(47.3%)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시의 ‘상·하반기 동행정평가’는 해당 과의 지도점검과 중복되고 실효성이 없어 폐지해야 한다(46.1%)는 주장이 현행대로 시행하자(44.1%)는 요구보다 조금 높았다.
특히, 직원들은 같이 근무하고 싶은 상사로 대화를 많이 나누고 의견을 경청해 주는 상사(55.7%)를 가장 선호한 반면, 함께 근무하고 싶지 않은 상사로 ‘주관없이 윗사람이 시키는 대로 하는 YES맨(26.0%)’을 꼽았다.
안산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도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공직협이 공무원노조로 전환해야 한
다는데 70%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공직협이 직장협의회 활성화 및 공직사회의 불합리한 제도·관행개선 등을
위해 지난 7월18일부터 20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설문 대상은 6급 이
하 전직원(1307명)이며 이 중 785명(60%)이 설문에 응답했다.
◇ 공직협 활동관련 = 조사 결과, 대다수 시 직원들은 공직협이 ‘회원들에게 꼭 필요한 단체로 활동을 잘 할 것(76.2%)’이라고 응답, 직협 활동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으며 공직협의 노조전환에 대해서도 노동3권 확보를 위해 찬성한다는 의견이 70.7%를 차지했다.
공직협이 추진해야 할 우선 과제로는 비상근무, 당직, 회의참석 등 근무환경 개선(31.7%)과 인사제도 개선(27.5%)을 꼽았다.
이와 관련, 직원들은 지역연고에 의한 인사(43.1%)를 가장 불합리한 인사관행으로 꼽았고, 특정부서 출신 우대(31.6%), 정치적 연줄(논공행상)에 의한 인사(16.8%), 외부단체의 인사개입(7.5%)등이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또 인사제도 개선방법으로 인사용인, 일정, 방침 등을 사전에 공개하는 인사예고제 시행(36.7%)을 가장 선호했고, 인사예고제 시행여부에 대해서도 75.3%가 찬성했다. 그 외에는 인사기록 개별공개(33.1%), 다면평가제 확대운영(20.8%), 공직협 추천인사 인사위 참여(6.1%) 순으로 응답했다.
◇ 근무환경 관련 = 안산시 직원들은 시청 주차시설 유료화에 대해 찬성한다(44.3%)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유료화할 경우 2만원(73.0%)이 가장 적정한 금액이라고 답했다. 물품가격이 비싼 편인 시청 구내매점 운영문제에 대해서는 시 직장금고가 운영(79.0%)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성과급 지급방식은 응답자의 69.7%가 ‘부서별로 성과에 따라 지급하고 부서장이 집행하는 방법’을 선호했고, 현재 시행하고 있는 목표관리제는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로 폐지해야 한다(82.8%)고 답했다.
◇ 업무개선 등 = 기자실 운영에 대해 시 직원들은 브리핑룸 등 개방형공간으로 전환(46.4%)하자는 의견과 폐쇄해야 한다(44.2%)는 의견이 비슷했다. 기자실을 폐쇄해야하는 이유로는 기자들의 그릇된 행태(47.3%)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시의 ‘상·하반기 동행정평가’는 해당 과의 지도점검과 중복되고 실효성이 없어 폐지해야 한다(46.1%)는 주장이 현행대로 시행하자(44.1%)는 요구보다 조금 높았다.
특히, 직원들은 같이 근무하고 싶은 상사로 대화를 많이 나누고 의견을 경청해 주는 상사(55.7%)를 가장 선호한 반면, 함께 근무하고 싶지 않은 상사로 ‘주관없이 윗사람이 시키는 대로 하는 YES맨(26.0%)’을 꼽았다.
안산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