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삼척지역 주민들이 태풍 ‘루사’로 큰 피해를 입은 이 지역의 ‘특별재해지역’선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배제될 경우 ‘총궐기’도 불사한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3일 동해·삼척시 관계자와 주민들에 따르면 영동권의 특정지역만이 태풍 ‘루사’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것처럼 보도돼 동해·삼척 등 나머지 영동지역은 상대적으로 언론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다.
동해·삼척지역은 지난달 31일과 1일 내린 호우로 한때 모든 교통·통신수단이 두절돼 ‘고립무원의 섬’으로 전락했었다. 일부 소통이 이뤄진 이후에도 평소 1시간 미만이던 강릉-삼척 구간이 3∼4시간 소요되는 등 불편은 여전했다. 삼척시 관계자에 따르면 자매도시인 구리시의 구호차량이 도착하는데 11시간이 걸리는 등 도움의 손길이 거의 미치지 못하고 있다.
피해규모는 영동권 중에서도 최악을 기록하고 있다. 강원도재해대책본부 집계에 따르면 삼척시의 인명피해는 사망 12명, 실종 14명, 부상 12명으로 38명에 이르러 인구가 두 배 이상인 강릉시보다 4명이나 많았다. 3일 오후 6시 현재 동해시는 삼화동과 망상동 등 2개 지역 3450명, 삼척시는 6개면 5617명이 고립돼 식수와 생필품의 지원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교통·통신이 두절된 일부 지역은 공무원이 피해규모를 확인하기 위해 7∼8시간씩 걸어서 다녀오고 있는 실정이다.
삼척시 재해대책본부는 3일 인명피해 38명, 이재민 4879가구 1만4637명, 주택 전파 165동·반파 265동·침수 4449동으로 잠정집계했다. 공공시설은 도로교량 국도 19개소, 지방도 10개소, 철도 10개소가 유실되고 벼 398ha와 밭 240ha, 소 271두, 닭 8만 5000마리 등 8만 6257두와 어선 11척의 큰 피해를 입었다. 동해시는 인명피해 10명, 이재민 3834가구 1만1499명, 주택 전파 264동·반파 528동·침수 3241동으로 잠정집계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행정력이 응급피해복구에 매달리고 있어 공공시설물의 피해규모는 집계조차 안 되고 있다.
이번 수해로 다른 지역 못지 않은 큰 피해를 입은 동해·삼척지역 주민들은 ‘특별재해지역’선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무릉천과 신흥천이 범람한 동해시 삼화동지역은 주민 절반인 24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이순남 할머니 등 4명의 주민이 목숨을 잃었다. 특히 시가지 일대는 1층 대부분이 파손돼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할지 구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역주민들은 자력복구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정부차원의 복구를 기다리고 있으며 ‘삼화동일대의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수천억원대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 삼척시의 경우는 ‘총궐기’나 ‘폭동’ 등의 단어가 등장하고 있다.
김정삼 삼척시 부시장은 3일 민심이 폭동 위기라며 “특별재해지역에서 배제되는 것 아니냐는 시민들의 전화가 하루 수십통씩 걸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시민들은 특정지역만 집중보도하는 중앙언론의 보도태도에 불만을 갖고 있다”며 “특별재해지역에서 배제된다면 ‘총궐기’나 ‘폭동’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강릉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3일 동해·삼척시 관계자와 주민들에 따르면 영동권의 특정지역만이 태풍 ‘루사’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것처럼 보도돼 동해·삼척 등 나머지 영동지역은 상대적으로 언론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다.
동해·삼척지역은 지난달 31일과 1일 내린 호우로 한때 모든 교통·통신수단이 두절돼 ‘고립무원의 섬’으로 전락했었다. 일부 소통이 이뤄진 이후에도 평소 1시간 미만이던 강릉-삼척 구간이 3∼4시간 소요되는 등 불편은 여전했다. 삼척시 관계자에 따르면 자매도시인 구리시의 구호차량이 도착하는데 11시간이 걸리는 등 도움의 손길이 거의 미치지 못하고 있다.
피해규모는 영동권 중에서도 최악을 기록하고 있다. 강원도재해대책본부 집계에 따르면 삼척시의 인명피해는 사망 12명, 실종 14명, 부상 12명으로 38명에 이르러 인구가 두 배 이상인 강릉시보다 4명이나 많았다. 3일 오후 6시 현재 동해시는 삼화동과 망상동 등 2개 지역 3450명, 삼척시는 6개면 5617명이 고립돼 식수와 생필품의 지원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교통·통신이 두절된 일부 지역은 공무원이 피해규모를 확인하기 위해 7∼8시간씩 걸어서 다녀오고 있는 실정이다.
삼척시 재해대책본부는 3일 인명피해 38명, 이재민 4879가구 1만4637명, 주택 전파 165동·반파 265동·침수 4449동으로 잠정집계했다. 공공시설은 도로교량 국도 19개소, 지방도 10개소, 철도 10개소가 유실되고 벼 398ha와 밭 240ha, 소 271두, 닭 8만 5000마리 등 8만 6257두와 어선 11척의 큰 피해를 입었다. 동해시는 인명피해 10명, 이재민 3834가구 1만1499명, 주택 전파 264동·반파 528동·침수 3241동으로 잠정집계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행정력이 응급피해복구에 매달리고 있어 공공시설물의 피해규모는 집계조차 안 되고 있다.
이번 수해로 다른 지역 못지 않은 큰 피해를 입은 동해·삼척지역 주민들은 ‘특별재해지역’선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무릉천과 신흥천이 범람한 동해시 삼화동지역은 주민 절반인 24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이순남 할머니 등 4명의 주민이 목숨을 잃었다. 특히 시가지 일대는 1층 대부분이 파손돼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할지 구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역주민들은 자력복구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정부차원의 복구를 기다리고 있으며 ‘삼화동일대의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수천억원대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 삼척시의 경우는 ‘총궐기’나 ‘폭동’ 등의 단어가 등장하고 있다.
김정삼 삼척시 부시장은 3일 민심이 폭동 위기라며 “특별재해지역에서 배제되는 것 아니냐는 시민들의 전화가 하루 수십통씩 걸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시민들은 특정지역만 집중보도하는 중앙언론의 보도태도에 불만을 갖고 있다”며 “특별재해지역에서 배제된다면 ‘총궐기’나 ‘폭동’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강릉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