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가 사우와 북변동 일대에 위치한 장릉산 미사일 기지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김포시는 27일 김포 1·2·3동에 위치한 미사일 기지를 이전하고, 장릉산 전체를 시립공원 으로 지정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할 것을 밝혔다. 또 김동식 시장은 지난달 23일 경기도청에서 손학규 지사를 면담, 미사일 기지 이전을 건의하고 도차원의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기지 이전 장소 확보 및 군당국과의 협의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아직도 남아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기지이전 필요성 제기
장릉산 미사일기지는 지난 60년 이후 항공기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됐다. 그러나 지난 84년 산사태가 발생해 유실된 지뢰가 폭발해 14명이 사망하고, 2000년에는 산불로 기지내 유료고에 불이 옮겨 붙을 뻔한 사고가 발생했다.
또 최근 급속한 인구증가로 미사일 기지가 김포시의 인구 19만명중 12만명이 거주하는 인구 밀집 지역에 1km 반경안에 위치해 안전사고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김포3동 주민 이모(36)씨는 “당시 사고를 기억하고 있다. 장마철만 되면 아이들에게 장릉산 부근으로 가지도 못하게 한다”며 “그동안 냉정분위기로 인해 주민들의 요구를 내세우기 어려웠지만 앞으로 이전요구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2동 주민 차모(44)씨는 “주민휴식 공간도 부족한 상황이다. 도심 한복판에 미사일 기지보다는 시민을 위한 쉼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사우 11통 홍종숙(47) 통장은 “안보상 미사일 기지가 필요한 것은 주민도 인정한다. 그러나 주택가에서 좀 더 안전한 곳으로 이전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포시는 장릉 일대와 한강변을 산림욕장과 체육시설을 비롯해 조각공원 산책로 전망타워 통일안보 상징탑 등이 설치된 종합공원으로 개발하기로 계획을 세우고 국방부와 협의중이다.
인천사례 교훈 삼아야
김포시의 미사일 기지 이전 추진에 대한 필요성은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구체적 추진안에 대해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인근 인천시의 사례가 단적인 예다. 인천시는 지난해 6월 송도미사일기지를 영종도 백운산 일대 6만여평에 이전키로 국방부와 합의하고 78억원을 들여 지난달 영종도의 이전대상 부지매입을 끝냈다. 그러나 새로운 후보지를 선정하면서 해당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영종도 주민들은 “98년 12월 미사일을 잘못 발사시켜 공중폭발한 파편이 연수구 주택가에 떨어져 인명피해와 1억여원의 재산피해를 냈었다. 영종도 이전에 대해 생존권을 걸고 끝까지 반대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히고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인천시와 국방부는 주민측과의 접촉에 대해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어 미사일 기지 이전은 표류하고 있다.
김포시아 인천시 과정을 교훈삼아 시행착오를 거듭하지 않으려면 장릉산 미사일기지 이전에 대해 후보지 선정과 군당국과의 협의가 진행되야 한다. 김포시 관계자에 따르면 군당국은 “일단 건의안만 들어보자”라는 신중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군당국 한 관계자는 “기지 이전은 소규모 부대에서는 거론할 수 없고, 국방부와 협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포시는 국방부 장관 면담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안전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다. 공군부대의 한 관계자는 “미사일 기지를 중심으로 매설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포3동 주민 이모(36)씨는 “인체 유해물질은 없는지, 지뢰에 대한 위험성은 없는지 주민에게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포시 기획실 관계자는 “첫 단계로 군부대와의 협의를 이끌어내는 것에 중점을 둘 것”이라며 “민가가 적고 주민의 거부감이 적은 외곽 야산을 이전장소로 검토하고 있다. 주민들과 시민단체 의견도 적극 수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예현 기자 newslove@naeil.com
김포시는 27일 김포 1·2·3동에 위치한 미사일 기지를 이전하고, 장릉산 전체를 시립공원 으로 지정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할 것을 밝혔다. 또 김동식 시장은 지난달 23일 경기도청에서 손학규 지사를 면담, 미사일 기지 이전을 건의하고 도차원의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기지 이전 장소 확보 및 군당국과의 협의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아직도 남아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기지이전 필요성 제기
장릉산 미사일기지는 지난 60년 이후 항공기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됐다. 그러나 지난 84년 산사태가 발생해 유실된 지뢰가 폭발해 14명이 사망하고, 2000년에는 산불로 기지내 유료고에 불이 옮겨 붙을 뻔한 사고가 발생했다.
또 최근 급속한 인구증가로 미사일 기지가 김포시의 인구 19만명중 12만명이 거주하는 인구 밀집 지역에 1km 반경안에 위치해 안전사고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김포3동 주민 이모(36)씨는 “당시 사고를 기억하고 있다. 장마철만 되면 아이들에게 장릉산 부근으로 가지도 못하게 한다”며 “그동안 냉정분위기로 인해 주민들의 요구를 내세우기 어려웠지만 앞으로 이전요구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2동 주민 차모(44)씨는 “주민휴식 공간도 부족한 상황이다. 도심 한복판에 미사일 기지보다는 시민을 위한 쉼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사우 11통 홍종숙(47) 통장은 “안보상 미사일 기지가 필요한 것은 주민도 인정한다. 그러나 주택가에서 좀 더 안전한 곳으로 이전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포시는 장릉 일대와 한강변을 산림욕장과 체육시설을 비롯해 조각공원 산책로 전망타워 통일안보 상징탑 등이 설치된 종합공원으로 개발하기로 계획을 세우고 국방부와 협의중이다.
인천사례 교훈 삼아야
김포시의 미사일 기지 이전 추진에 대한 필요성은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구체적 추진안에 대해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인근 인천시의 사례가 단적인 예다. 인천시는 지난해 6월 송도미사일기지를 영종도 백운산 일대 6만여평에 이전키로 국방부와 합의하고 78억원을 들여 지난달 영종도의 이전대상 부지매입을 끝냈다. 그러나 새로운 후보지를 선정하면서 해당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영종도 주민들은 “98년 12월 미사일을 잘못 발사시켜 공중폭발한 파편이 연수구 주택가에 떨어져 인명피해와 1억여원의 재산피해를 냈었다. 영종도 이전에 대해 생존권을 걸고 끝까지 반대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히고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인천시와 국방부는 주민측과의 접촉에 대해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어 미사일 기지 이전은 표류하고 있다.
김포시아 인천시 과정을 교훈삼아 시행착오를 거듭하지 않으려면 장릉산 미사일기지 이전에 대해 후보지 선정과 군당국과의 협의가 진행되야 한다. 김포시 관계자에 따르면 군당국은 “일단 건의안만 들어보자”라는 신중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군당국 한 관계자는 “기지 이전은 소규모 부대에서는 거론할 수 없고, 국방부와 협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포시는 국방부 장관 면담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안전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다. 공군부대의 한 관계자는 “미사일 기지를 중심으로 매설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포3동 주민 이모(36)씨는 “인체 유해물질은 없는지, 지뢰에 대한 위험성은 없는지 주민에게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포시 기획실 관계자는 “첫 단계로 군부대와의 협의를 이끌어내는 것에 중점을 둘 것”이라며 “민가가 적고 주민의 거부감이 적은 외곽 야산을 이전장소로 검토하고 있다. 주민들과 시민단체 의견도 적극 수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예현 기자 newslove@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