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부패청산프로그램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노무현 후보는 7월초까지 청산프로그램을 제시한다는 계획 아래 제도적 보완책 마련을 위한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
민주당 안팎에선 이 시기를 전후해 김대중 대통령의 아들비리에 대한 대국민사과에 이은 후속조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렇게되면 인위적 차별화 없이 당사자의 자진결단이라는 모양새 좋은 과거청산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한 정지작업에 한화갑 대표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한 대표는 25일 고위당직자 회의에서 쇄신파의 ‘탈DJ’ 요구에 대해 “차별화는 윈-윈(Win-Win)으로 해야지, 어느 한쪽을 깎아내리는 방법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자제를 요청한 후 “나에게 맡겨달라”고 말했다. 또 이날 한 대표는 “우리 당이 여당이 된 뒤 김대중 대통령이 엄청난 업적을 세웠지만 대통령 자제들의 스캔들이 시기적으로 안좋은 때 있어 지방선거 패배의 요인이 됐다”고 DJ아들들의 책임론을 처음으로 거론했다. 책임을 분명히 하되 조용한 해결을 추진하겠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
한 대표가 이처럼 조심스런 행보는 당의 단합과 부패청산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것이다. 김홍일 의원의 탈당, 아태재단 해체 또는 사회환원은 본인들의 자발적 동의가 없다면 이뤄지기도 어렵거니와 당내 분란을 야기할 수 있는 사안들이다.
당 한 관계자는 부패청산 프로그램과 관련 “청와대측의 후속조치 - 노 후보의 부패청산 대책 발표- 이후 당의 총의를 모아 총력 대응이라는 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한 대표의 DJ 면담에 대해서는 “조율하는 인상을 줘 당사자들에게도 당에게도 도움이 안된다”며 가능성을 일축했다. 당사자들의 결단만으로 첫고개를 넘어야한다는 것이다.
관심은 청와대의 후속조치의 수위에 쏠리고 있다. 김홍일 의원 탈당, 아태재단 처리 등에 대한 해법과 함께 박지원 비서실장의 거취, 국정운영시스템의 변화를 주는 고강도 조치가 나올지가 관심사다. 당 일각에서는 김 대통령이 내치에서 손을 떼고 외교와 안보에 전념하고 내정은 총리에게 맡기는 책임총리제를 주장하고 있다. 사실상 DJ의 이선후퇴를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 월드컵 4강진출 등에 따른 사회적 분위기 변화, 후속조치들의 가능성과 실제 효과 등에 대해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주당이 기대하는 수준의 조치는 없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전망도 적지않다. 동교동 출신 한 재선의원은 “6·29선언과 같은 획기적인 방법을 바라겠으나 그같은 방법도 없고, 효과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은 ‘조용한 해결’을 추진하고 있지만, 방법과 기대수준에 대한 공감대가 없어 언제 또 시끄러운 해결 요구로 번질지 모를 폭발성을 여전히 안고있는 셈이다.
민주당 안팎에선 이 시기를 전후해 김대중 대통령의 아들비리에 대한 대국민사과에 이은 후속조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렇게되면 인위적 차별화 없이 당사자의 자진결단이라는 모양새 좋은 과거청산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한 정지작업에 한화갑 대표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한 대표는 25일 고위당직자 회의에서 쇄신파의 ‘탈DJ’ 요구에 대해 “차별화는 윈-윈(Win-Win)으로 해야지, 어느 한쪽을 깎아내리는 방법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자제를 요청한 후 “나에게 맡겨달라”고 말했다. 또 이날 한 대표는 “우리 당이 여당이 된 뒤 김대중 대통령이 엄청난 업적을 세웠지만 대통령 자제들의 스캔들이 시기적으로 안좋은 때 있어 지방선거 패배의 요인이 됐다”고 DJ아들들의 책임론을 처음으로 거론했다. 책임을 분명히 하되 조용한 해결을 추진하겠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
한 대표가 이처럼 조심스런 행보는 당의 단합과 부패청산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것이다. 김홍일 의원의 탈당, 아태재단 해체 또는 사회환원은 본인들의 자발적 동의가 없다면 이뤄지기도 어렵거니와 당내 분란을 야기할 수 있는 사안들이다.
당 한 관계자는 부패청산 프로그램과 관련 “청와대측의 후속조치 - 노 후보의 부패청산 대책 발표- 이후 당의 총의를 모아 총력 대응이라는 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한 대표의 DJ 면담에 대해서는 “조율하는 인상을 줘 당사자들에게도 당에게도 도움이 안된다”며 가능성을 일축했다. 당사자들의 결단만으로 첫고개를 넘어야한다는 것이다.
관심은 청와대의 후속조치의 수위에 쏠리고 있다. 김홍일 의원 탈당, 아태재단 처리 등에 대한 해법과 함께 박지원 비서실장의 거취, 국정운영시스템의 변화를 주는 고강도 조치가 나올지가 관심사다. 당 일각에서는 김 대통령이 내치에서 손을 떼고 외교와 안보에 전념하고 내정은 총리에게 맡기는 책임총리제를 주장하고 있다. 사실상 DJ의 이선후퇴를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 월드컵 4강진출 등에 따른 사회적 분위기 변화, 후속조치들의 가능성과 실제 효과 등에 대해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주당이 기대하는 수준의 조치는 없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전망도 적지않다. 동교동 출신 한 재선의원은 “6·29선언과 같은 획기적인 방법을 바라겠으나 그같은 방법도 없고, 효과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은 ‘조용한 해결’을 추진하고 있지만, 방법과 기대수준에 대한 공감대가 없어 언제 또 시끄러운 해결 요구로 번질지 모를 폭발성을 여전히 안고있는 셈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