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부가 추진중인 개발제한구역 내 택지개발사업에 대해 주민청원이 잇따르는 등 주민들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7월 의왕 청계, 군포 부곡지구 주민들이 환경정의시민연대, 경실련 도시개혁센터와 함께 개발제한구역해제반대 주민청원을 제출한 데 이어 10일 시흥 능곡지구 주민들도 같은 청원을 제출했다.
위 지역 중 현재 지구지정이 되기 전 주민공람을 마친 시흥 능곡지구를 제외한 3개 지구 주민들은 ‘개발제한구역 내 택지개발예정지구지정에 대한 처분취소 소송’도 준비하고 있다.
주민들은 청원서에서 “지난 30년 동안 엄격한 규제로 경제적 불이익과 불편을 감수하면서 살아왔는데 이에 대한 보상은 고사하고 이제는 조상대대로 살아온 땅에서 쫓겨나는 등 생존권의 위협을 받게 됐다”며 “우리는 개발이나 그에 따른 어떠한 이익도 원하지 않고 기존의 그린벨트가 그대로 유지·존속돼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하기를 바랄 뿐, 택지개발을 명분으로 그린벨트가 해제되는 것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흥 능곡지구는 30가구 100명 중 67명(67%)과 지구 내에 토지를 소유한 인근 마의 주민들까지 그린벨트 해제에 반대하는 청원에 참여했다.
환경정의시민연대 관계자는 “시흥 능곡지역은 대상지를 공동주택단지로 개발하게 되면 안산시와 시흥시가 연담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수도권 서남부의 생태 녹지축이 단절된다”며 “주변이 안산, 시흥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택지개발이 될 경우 주민들은 농지를 빼앗기고 오랫동안 살아왔던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상황”이라고 말했다.
환경단체들은 “건교부가 협의기구인 환경부의 의견조차 무시하며 일방적으로 택지개발사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 안산 신길지구 주민들도 이날 그린벨트 해제를 반대하는 청원서를 건교부에 제출할 예정이었으나 만약에 입게 될지도 모를 불이익을 우려한 나머지 청원서 제출을 포기했다.
지난 7월 의왕 청계, 군포 부곡지구 주민들이 환경정의시민연대, 경실련 도시개혁센터와 함께 개발제한구역해제반대 주민청원을 제출한 데 이어 10일 시흥 능곡지구 주민들도 같은 청원을 제출했다.
위 지역 중 현재 지구지정이 되기 전 주민공람을 마친 시흥 능곡지구를 제외한 3개 지구 주민들은 ‘개발제한구역 내 택지개발예정지구지정에 대한 처분취소 소송’도 준비하고 있다.
주민들은 청원서에서 “지난 30년 동안 엄격한 규제로 경제적 불이익과 불편을 감수하면서 살아왔는데 이에 대한 보상은 고사하고 이제는 조상대대로 살아온 땅에서 쫓겨나는 등 생존권의 위협을 받게 됐다”며 “우리는 개발이나 그에 따른 어떠한 이익도 원하지 않고 기존의 그린벨트가 그대로 유지·존속돼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하기를 바랄 뿐, 택지개발을 명분으로 그린벨트가 해제되는 것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흥 능곡지구는 30가구 100명 중 67명(67%)과 지구 내에 토지를 소유한 인근 마의 주민들까지 그린벨트 해제에 반대하는 청원에 참여했다.
환경정의시민연대 관계자는 “시흥 능곡지역은 대상지를 공동주택단지로 개발하게 되면 안산시와 시흥시가 연담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수도권 서남부의 생태 녹지축이 단절된다”며 “주변이 안산, 시흥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택지개발이 될 경우 주민들은 농지를 빼앗기고 오랫동안 살아왔던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상황”이라고 말했다.
환경단체들은 “건교부가 협의기구인 환경부의 의견조차 무시하며 일방적으로 택지개발사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 안산 신길지구 주민들도 이날 그린벨트 해제를 반대하는 청원서를 건교부에 제출할 예정이었으나 만약에 입게 될지도 모를 불이익을 우려한 나머지 청원서 제출을 포기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