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강·남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강북지역 개발을 위주로 한 가칭 ‘지역균형발전 특별 조례’를 올 연말까지 제정할 방침이다.
김병일 서울시 지역균형발전추진단장은 15일 “낙후된 강북 지역에 대한 개발과 생활환경 개선 지원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연말까지 특별 조례를 제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말했다.
시의 특별조례에는 △강북지원과 예산 우선 배정 △강북개발에 관한 연차적 계획 수립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특별 사업 선정 △지역균형발전추진위 구성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단장은 “특별조례 제정은 청계천 복원을 비롯, 강·남북 격차를 줄여나가는 지역균형발전이 민선3기 시정 4개년 계획의 핵심임을 명문화하는 것”이라며 “과거 강남지역도 구획정리와 명문학군 이전 등 시의 전폭적 지원을 받아 오늘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특히 지금까지 한번도 시도된 적이 없는 강북의 기존 시가지 개발 사업과 강북 주택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자치구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타파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도로와 공원 등 강북의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문화회관 건립 등 주거환경 개선과 강북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각종 사업이 탄력을 받게된다.
시는 먼저 강북과 강남권 낙후 지역에서 개발 거점을 통해 지역성장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심-부도심-지역중심-지구중심 등 이른바 ‘다핵화’ 구도를 현실화시킬 계획이다.
예를 들어 연신내와 용산 등 상업지역이면서 개발 거점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곳에 대해서는 개발방안과 용도지역 상향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이뤄진다.
강북 지역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강남 명문고의 분교 유치, 자립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의 설치, 노후 학교 시설개선 등이 검토된다.
시는 또 강북지역 주민들이 역사와 문화보전에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자치구의 이미지를 잘 드러내는 축제와 사업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김병일 서울시 지역균형발전추진단장은 15일 “낙후된 강북 지역에 대한 개발과 생활환경 개선 지원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연말까지 특별 조례를 제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말했다.
시의 특별조례에는 △강북지원과 예산 우선 배정 △강북개발에 관한 연차적 계획 수립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특별 사업 선정 △지역균형발전추진위 구성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단장은 “특별조례 제정은 청계천 복원을 비롯, 강·남북 격차를 줄여나가는 지역균형발전이 민선3기 시정 4개년 계획의 핵심임을 명문화하는 것”이라며 “과거 강남지역도 구획정리와 명문학군 이전 등 시의 전폭적 지원을 받아 오늘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특히 지금까지 한번도 시도된 적이 없는 강북의 기존 시가지 개발 사업과 강북 주택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자치구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타파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도로와 공원 등 강북의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문화회관 건립 등 주거환경 개선과 강북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각종 사업이 탄력을 받게된다.
시는 먼저 강북과 강남권 낙후 지역에서 개발 거점을 통해 지역성장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심-부도심-지역중심-지구중심 등 이른바 ‘다핵화’ 구도를 현실화시킬 계획이다.
예를 들어 연신내와 용산 등 상업지역이면서 개발 거점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곳에 대해서는 개발방안과 용도지역 상향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이뤄진다.
강북 지역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강남 명문고의 분교 유치, 자립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의 설치, 노후 학교 시설개선 등이 검토된다.
시는 또 강북지역 주민들이 역사와 문화보전에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자치구의 이미지를 잘 드러내는 축제와 사업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