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선정 어려움 등으로 자칫 늦어질 뻔 했던 서울시의 2003년 임대주택 4만가구 공급계획이 예정대로 추진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로 예정된 노원구 중계본동 등 7곳에 대한 그린벨트 해제를 연내에 마무리지을 방침이라고 15일 밝혔다.
이는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이 14일 발효돼 그린벨트 해제권한이 건설교통부장관에서 시도지사로 넘어왔기 때문에 가능해진 조치다.
그린벨트 우선 해제 대상은 중계본동 외에 노원구 상계1동, 강동구 강일동, 종로구 부암동, 은평구 진관내·외동, 구파발동, 성북구 정릉3동 등이다.
서울시는 우선 다음달 해제안에 대한 공람공고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10월 시의회 의견청취 과정을 거친 후 11월 시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올 연말까지 이들 지역을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하고 내년초 이들 지역을 택지예정지구로 지정, 내년말까지 택지개발 사업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명박 시장의 임대가구 10만호 건설 공약은 물론 내년까지 임대주택 4만가구를 건설한다는 서울시의 계획이 예정대로 추진될 수 있을 전망이다.
시는 임대주택 4만가구 건설 계획에 따라 지금까지 장지·발산지구 택지개발, 다세대·다가구 주택매입 등을 통해 지금까지 2만6000가구분에 대한 사업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나머지 1만3000여가구는 아직 터도 확보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 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앞으로 그린벨트 해제는 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결정할 수 있게 돼 처리기간이 6개월 가량 단축될 것”이라며 “그러나 나무가 빽빽하게 자란 비오톱(생물서식공간) 1, 2등급지는 그린벨트 해제대상에서 제외하고 나대지 등만 해제할 수 있도록 부서간 의견조율을 마쳤다”고 밝혔다.
한편 시행령 발효에 따라 시가 지난해 말 건교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안건을 상정했으나 그동안 지연됐던 서초구 염곡동 염곡마을 등 13만여평에 대한 그린벨트 해제도 연말까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로 예정된 노원구 중계본동 등 7곳에 대한 그린벨트 해제를 연내에 마무리지을 방침이라고 15일 밝혔다.
이는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이 14일 발효돼 그린벨트 해제권한이 건설교통부장관에서 시도지사로 넘어왔기 때문에 가능해진 조치다.
그린벨트 우선 해제 대상은 중계본동 외에 노원구 상계1동, 강동구 강일동, 종로구 부암동, 은평구 진관내·외동, 구파발동, 성북구 정릉3동 등이다.
서울시는 우선 다음달 해제안에 대한 공람공고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10월 시의회 의견청취 과정을 거친 후 11월 시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올 연말까지 이들 지역을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하고 내년초 이들 지역을 택지예정지구로 지정, 내년말까지 택지개발 사업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명박 시장의 임대가구 10만호 건설 공약은 물론 내년까지 임대주택 4만가구를 건설한다는 서울시의 계획이 예정대로 추진될 수 있을 전망이다.
시는 임대주택 4만가구 건설 계획에 따라 지금까지 장지·발산지구 택지개발, 다세대·다가구 주택매입 등을 통해 지금까지 2만6000가구분에 대한 사업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나머지 1만3000여가구는 아직 터도 확보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 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앞으로 그린벨트 해제는 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결정할 수 있게 돼 처리기간이 6개월 가량 단축될 것”이라며 “그러나 나무가 빽빽하게 자란 비오톱(생물서식공간) 1, 2등급지는 그린벨트 해제대상에서 제외하고 나대지 등만 해제할 수 있도록 부서간 의견조율을 마쳤다”고 밝혔다.
한편 시행령 발효에 따라 시가 지난해 말 건교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안건을 상정했으나 그동안 지연됐던 서초구 염곡동 염곡마을 등 13만여평에 대한 그린벨트 해제도 연말까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