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쳐나는 시중의 과잉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한 금리인상 논의에 대한 반대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전윤철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25일 기자간담회에서 “금리문제는 한국경제 전반적인 상황을 인식해 결정해야 한다”며 “금융통화위원회는 우리경제가 처한 대내외적 여건을 잘 알 것이기 때문에 잘 결정해 줄 것”이라고 말해 정부가 그동안 주장했던 ‘금리인상’신중론을 재확인 했다.
윤진식 재경부 차관도 “한국은행은 물가관리가 목표인데 올해와 내년 물가가 3%대를 넘지 않을 전망”이라며 “경기가 불확실한 가운데 국제유가가 상승해 물가가 오른다면 이는 최근의 과잉유동성과 다른 문제로서 금리인상으로 대응할 성격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IMF(국제통화기금)은 이날 발표한 ‘2002년도 하반기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은 주택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고 올해와 내년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견됨에 따라 지난 5월 금리를 인상했다”며 “원화절상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시키고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금리인상은 단기적으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박용성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 경제5단체장도 이날 송도비치호텔에서 기자간단회를 갖고 “금리인상이 단행되면 급속한 경기후퇴가 불가피하다”며 “금리인상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창성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우리가 과거 고금리 시대에 길들여져 느낌이 무뎌졌을 뿐 OECD(경제개발협력기구) 회원국 가운데 한국보다 금리가 높은 나라는 없다”고 지적했으며, 김재철 무역협회장은 “투기를 막으려면 투기꾼을 잡아야지 투기억제 수단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선량한 기업들을 죽이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전윤철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25일 기자간담회에서 “금리문제는 한국경제 전반적인 상황을 인식해 결정해야 한다”며 “금융통화위원회는 우리경제가 처한 대내외적 여건을 잘 알 것이기 때문에 잘 결정해 줄 것”이라고 말해 정부가 그동안 주장했던 ‘금리인상’신중론을 재확인 했다.
윤진식 재경부 차관도 “한국은행은 물가관리가 목표인데 올해와 내년 물가가 3%대를 넘지 않을 전망”이라며 “경기가 불확실한 가운데 국제유가가 상승해 물가가 오른다면 이는 최근의 과잉유동성과 다른 문제로서 금리인상으로 대응할 성격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IMF(국제통화기금)은 이날 발표한 ‘2002년도 하반기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은 주택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고 올해와 내년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견됨에 따라 지난 5월 금리를 인상했다”며 “원화절상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시키고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금리인상은 단기적으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박용성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 경제5단체장도 이날 송도비치호텔에서 기자간단회를 갖고 “금리인상이 단행되면 급속한 경기후퇴가 불가피하다”며 “금리인상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창성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우리가 과거 고금리 시대에 길들여져 느낌이 무뎌졌을 뿐 OECD(경제개발협력기구) 회원국 가운데 한국보다 금리가 높은 나라는 없다”고 지적했으며, 김재철 무역협회장은 “투기를 막으려면 투기꾼을 잡아야지 투기억제 수단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선량한 기업들을 죽이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