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정부 개발정책에서 소외됐던 접경지역과 지방 소도읍지역이 내년부터 중점적으로 개발된다.
행정자치부는 26일 “접경지역 지원사업과 지방 소도읍 육성사업 10개년 계획에 따라 내년부터 오는 2012년까지 각각 2조원과 1조4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개발계획에 따르면 접경지역에는 내년부터 도로개설과 하수도 배수로 정비, 전통가옥마을 조성, 주택개량, 회관건립 등 거주여건개선과 특화마을 조성, 거주기반시설 확충 등의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현재 정부가 접경지역으로 지정한 곳은 인천 2개 군, 경기 4개 시. 3개 군, 강원 1개 시. 5개 군으로 이중 15개시군, 98개 읍면동이 사업대상지역이다.
행자부는 접경지역 개발에 앞으로 10년간 국비 1조79억8000만원, 지방비 3175억원 등 모두 1조4000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자하기로 하고 우선 내년도에 시범사업비 143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지방 소도읍 육성사업은 전국 203개 읍 중 9개읍을 제외한 194개 읍이 사업 대상지역으로 도로 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농림, 어업 등 지역산업육성, 주민 생활환경 개선이 이뤄진다.
지방 소도읍 개발사업에는 내년에 300억원을 우선지원하고 향후 10년간 2조원을 투자해 읍지역을 주변 농어촌의 거점지역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도서주민의 열악한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도서종합개발사업에도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21% 늘어난 1214억원으로 증액하고 낙후, 소외된 지역개발에 역점을 두기로 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접경지역과 소도읍지역에 대한 정부차원의 예산지원은 이번이 처음이다”며 “국토 균형발전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행정자치부는 26일 “접경지역 지원사업과 지방 소도읍 육성사업 10개년 계획에 따라 내년부터 오는 2012년까지 각각 2조원과 1조4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개발계획에 따르면 접경지역에는 내년부터 도로개설과 하수도 배수로 정비, 전통가옥마을 조성, 주택개량, 회관건립 등 거주여건개선과 특화마을 조성, 거주기반시설 확충 등의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현재 정부가 접경지역으로 지정한 곳은 인천 2개 군, 경기 4개 시. 3개 군, 강원 1개 시. 5개 군으로 이중 15개시군, 98개 읍면동이 사업대상지역이다.
행자부는 접경지역 개발에 앞으로 10년간 국비 1조79억8000만원, 지방비 3175억원 등 모두 1조4000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자하기로 하고 우선 내년도에 시범사업비 143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지방 소도읍 육성사업은 전국 203개 읍 중 9개읍을 제외한 194개 읍이 사업 대상지역으로 도로 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농림, 어업 등 지역산업육성, 주민 생활환경 개선이 이뤄진다.
지방 소도읍 개발사업에는 내년에 300억원을 우선지원하고 향후 10년간 2조원을 투자해 읍지역을 주변 농어촌의 거점지역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도서주민의 열악한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도서종합개발사업에도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21% 늘어난 1214억원으로 증액하고 낙후, 소외된 지역개발에 역점을 두기로 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접경지역과 소도읍지역에 대한 정부차원의 예산지원은 이번이 처음이다”며 “국토 균형발전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