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환경운동센터는 25일 영덕∼양재간 고속화도로 건설로 인해 심각한 산림훼손이 우려된다며 도로 건설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환경운동센터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용인 영덕∼양재간 고속화도로는 광교산 자락을 심각하게 훼손할 뿐 아니라 고기리 등 그나마 보존돼 있는 녹지지역을 훼손할 우려가 높다”며 도로건설 계획 재검토를 요구했다.
현재 영덕∼양재간 고속화도로(지방도 327호)는 용인 영덕리를 출발, 수원 원천·신대저수지 사이를 통과해 용인 성복, 신봉택지개발지구가 들어서고 있는 광교산 자락을 우회하도록 돼 있다.
환경운동센터는 “수원의 허파와 같은 광교산은 무분별한 택지개발과 전원주택단지 등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데다 등산객들로 인해 황폐화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를 외면한채 대규모 도로건설이 강행되면 광교산 생태계는 벼랑 끝에 내몰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택지개발로 인한 교통문제가 대규모 도로를 만든다고 해결되지는 않는다”며 “보다 교통문제 해결의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로개설문제가 논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센터는 수원, 용인, 성남지역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노선경유지에 대한 정밀조사를 진행하는 한편, 모든 역량을 투여해 광교산 훼손을 막겠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센터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용인 영덕∼양재간 고속화도로는 광교산 자락을 심각하게 훼손할 뿐 아니라 고기리 등 그나마 보존돼 있는 녹지지역을 훼손할 우려가 높다”며 도로건설 계획 재검토를 요구했다.
현재 영덕∼양재간 고속화도로(지방도 327호)는 용인 영덕리를 출발, 수원 원천·신대저수지 사이를 통과해 용인 성복, 신봉택지개발지구가 들어서고 있는 광교산 자락을 우회하도록 돼 있다.
환경운동센터는 “수원의 허파와 같은 광교산은 무분별한 택지개발과 전원주택단지 등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데다 등산객들로 인해 황폐화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를 외면한채 대규모 도로건설이 강행되면 광교산 생태계는 벼랑 끝에 내몰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택지개발로 인한 교통문제가 대규모 도로를 만든다고 해결되지는 않는다”며 “보다 교통문제 해결의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로개설문제가 논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센터는 수원, 용인, 성남지역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노선경유지에 대한 정밀조사를 진행하는 한편, 모든 역량을 투여해 광교산 훼손을 막겠다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