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신용대란 가능성을 대체로 낮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실은 극히 정상적이고 증가세가 가파르지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진단이다. 그러나 유동성 흡수정책과 금리인상, 경기흐름 등에 따라 연체율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향후 심각한 수준으로 옮겨질 수 있음을 경고했다. 특히 저소득층의 가계부실화 위험은 현재에도 높은 수준에 있다.
메리츠증권 고유선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나라의 가계대출규모가 외환위기 이후 가파르게 증가해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와 금융시스템을 고려하면 속도는 우려할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은 가계부실문제가 카드사, 저소득 계층에 한정돼 있어 신용대란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내년 1분기까지는 연체율과 가계채권 부실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올 4분기와 내년 1분기 중에 고비를 맞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 이코노미스트는 “신용불량 문제가 대두되는 미국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 가계의 전반적인 부채상환 부담이 급등하고 재정여건도 크게 악화되고 있어 가계부실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 이코노미스트는 저소득층의 부실 가능성을 높게 봤다. 저소득층의 절대적인 부채상환 부담이 매우 높은 수준에 있기 때문이다. 고소득층은 저금리와 상환기간이 긴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높고 단기상환해야 하는 신용 및 카드대출 비중은 낮지만 저소득층은 반대입장에 놓여 있다.
동양증권 배현기 연구원도 “외환위기 이후 계층간 소득격차가 상당히 커졌다”면서 “상당히 많은 저소득계층의 이자보상배율(가처분소득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지표)이 1이하를 기록하고 있을 것”이라며 우려했다.
반면 박주식 현투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부채규모가 과거보다 급격하게 증가했다는 사실만으로 가계부채가 위험하다고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연체증가가 펀더멘털 즉 개인들의 지불능력 감소에 따른 것이 아니므로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고 말했다.
메리츠증권 고유선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나라의 가계대출규모가 외환위기 이후 가파르게 증가해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와 금융시스템을 고려하면 속도는 우려할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은 가계부실문제가 카드사, 저소득 계층에 한정돼 있어 신용대란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내년 1분기까지는 연체율과 가계채권 부실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올 4분기와 내년 1분기 중에 고비를 맞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 이코노미스트는 “신용불량 문제가 대두되는 미국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 가계의 전반적인 부채상환 부담이 급등하고 재정여건도 크게 악화되고 있어 가계부실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 이코노미스트는 저소득층의 부실 가능성을 높게 봤다. 저소득층의 절대적인 부채상환 부담이 매우 높은 수준에 있기 때문이다. 고소득층은 저금리와 상환기간이 긴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높고 단기상환해야 하는 신용 및 카드대출 비중은 낮지만 저소득층은 반대입장에 놓여 있다.
동양증권 배현기 연구원도 “외환위기 이후 계층간 소득격차가 상당히 커졌다”면서 “상당히 많은 저소득계층의 이자보상배율(가처분소득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지표)이 1이하를 기록하고 있을 것”이라며 우려했다.
반면 박주식 현투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부채규모가 과거보다 급격하게 증가했다는 사실만으로 가계부채가 위험하다고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연체증가가 펀더멘털 즉 개인들의 지불능력 감소에 따른 것이 아니므로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