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특사로 북한을 방문한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사진)는 6일 북한의 핵사찰 수용 문제에 대해 진전이 없었다고 밝혔다.
방북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한국에 이어 일본을 방문한 켈리 특사는 이날 도쿄의 미 대사관 공저에서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일본 관방장관 및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외상 등과 가진 회담에서 이같이 말한 것으로 교도통신은 보도했다.
켈리 차관보는 추후 북미 협의 개최 문제에 대해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았다”고 강조, 북한 한국 일본 방문 결과를 분석해 이를 토대로 미국의 향후 대응을 검토하겠다는 의향을 밝혔다고 통신은 전했다.
정부는 켈리 특사 일행의 방북 결과를 토대로 한반도 정세에 대한 후속대책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북미 양국이 모든 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해 나간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문제해결의 첫 걸음을 내디딘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달 말 멕시코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기간에 한미일 3국간 대북 정책을 논의, 이번 북미회담에서 마련된 대화 분위기를 이어갈 계획이다.
방북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한국에 이어 일본을 방문한 켈리 특사는 이날 도쿄의 미 대사관 공저에서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일본 관방장관 및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외상 등과 가진 회담에서 이같이 말한 것으로 교도통신은 보도했다.
켈리 차관보는 추후 북미 협의 개최 문제에 대해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았다”고 강조, 북한 한국 일본 방문 결과를 분석해 이를 토대로 미국의 향후 대응을 검토하겠다는 의향을 밝혔다고 통신은 전했다.
정부는 켈리 특사 일행의 방북 결과를 토대로 한반도 정세에 대한 후속대책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북미 양국이 모든 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해 나간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문제해결의 첫 걸음을 내디딘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달 말 멕시코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기간에 한미일 3국간 대북 정책을 논의, 이번 북미회담에서 마련된 대화 분위기를 이어갈 계획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