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해제지역 임대아파트 건립 반발
노원구, 강남북균형개발은 허울 … 일관성 없는 서울시 도시정책 철회 촉구
지역내일
2002-10-21
(수정 2002-10-25 오후 3:17:10)
서울시가 상계동과 중계본동 그린벨트해제 예정지역에 임대아파트건립을 추진하자 노원구가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노원구는 21일 서울시 정례 간부회의에 김근배 부구청장을 파견, "서울시의 주택정책이 불균형 해소와는 거리가 멀고, 지역을 슬럼화시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며 "노원구의 임대아파트 건립계획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구는 특히 "당초 이명박 서울시장이 임대아파트 건립과 관련, 노원구의 경우 수요자 중심의 아파트 건립을 지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개발공사의 임대아파트 건립계획은 일관성 없는 도시정책의 단면"이라고 주장했다.
노원구는 △서울시 전체 임대아파트 중 21.4%인 2만2838가구로 가장 높고 △서울시 영세민의 12%가 몰려있어 관련 예산이 일반회계대비 26.5%로 가장 높고 △90%가 아파트로 형성돼 있다.
이 가운데 국민주택(전용면적25.7평) 규모가 92.7%에 이르는 등 소형 고밀도 아파트지역으로 시 정책에 의해 낙후된만큼 추가 임대아파트 건립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와 함께 노원구는 연내 해제예정인 노원구 상계1동 노원마을과 중계본동 104번지 일대 그린벨트지역에 임대아파트가 아닌 문화복지공간이 건립되도록 계획수정을 요구했다.
동북부지역에 대표적인 문화예술공간이 없고, 상업지구면적도 강남구의 25%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재정이 열악한만큼 문화복지체육시설 건립이 절실하다는게 노원구의 주장이다.
이기재 노원구청장은 "노원구의 아파트촌 가운데 창동 지하철 차량기지와 면허시험장, 자동차 검사소 등 도심외곽으로 이전해야 할 부적합시설과 혐오시설이 자리하고 있어 기형적인 도시구조를 이어오고 있는 상황에서 또 임대아파트를 짓겠다는 것은 서울시의 강남북균형발전 계획에도 어긋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원구는 21일 서울시 정례 간부회의에 김근배 부구청장을 파견, "서울시의 주택정책이 불균형 해소와는 거리가 멀고, 지역을 슬럼화시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며 "노원구의 임대아파트 건립계획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구는 특히 "당초 이명박 서울시장이 임대아파트 건립과 관련, 노원구의 경우 수요자 중심의 아파트 건립을 지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개발공사의 임대아파트 건립계획은 일관성 없는 도시정책의 단면"이라고 주장했다.
노원구는 △서울시 전체 임대아파트 중 21.4%인 2만2838가구로 가장 높고 △서울시 영세민의 12%가 몰려있어 관련 예산이 일반회계대비 26.5%로 가장 높고 △90%가 아파트로 형성돼 있다.
이 가운데 국민주택(전용면적25.7평) 규모가 92.7%에 이르는 등 소형 고밀도 아파트지역으로 시 정책에 의해 낙후된만큼 추가 임대아파트 건립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와 함께 노원구는 연내 해제예정인 노원구 상계1동 노원마을과 중계본동 104번지 일대 그린벨트지역에 임대아파트가 아닌 문화복지공간이 건립되도록 계획수정을 요구했다.
동북부지역에 대표적인 문화예술공간이 없고, 상업지구면적도 강남구의 25%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재정이 열악한만큼 문화복지체육시설 건립이 절실하다는게 노원구의 주장이다.
이기재 노원구청장은 "노원구의 아파트촌 가운데 창동 지하철 차량기지와 면허시험장, 자동차 검사소 등 도심외곽으로 이전해야 할 부적합시설과 혐오시설이 자리하고 있어 기형적인 도시구조를 이어오고 있는 상황에서 또 임대아파트를 짓겠다는 것은 서울시의 강남북균형발전 계획에도 어긋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