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과 20대의 저축률이 급감하면서 국민저축률이 크게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저축률 변화와 요인’에 따르면 올 상반기 소득 가운데 소비한 후 남은 저축 비중인 저축률이 26.9%를 기록했다. 분기별로는 지난 85년 26.6% 이후 최저수준이다.
개인의 처분가능한 소득 대비 저축액을 의미하는 가계의 저축률은 지난 98년 26.6%로 일본 17.7%와 대만 16.9% 보다 높았지만 99년 격차가 좁혀졌고 지난 2000년에는 역전돼 일본 16.3%, 대만 16.1%에 비해 0.7∼0.9%포인트 낮은 15.45로 떨어졌다.
특히 저소득층의 저축률은 -3.4%로 소득보다 소비가 더 많아 차입했거나 과거의 저축을 썼던 것으로 추정됐다. 저소득층의 저축률은 99년 -4.9%를 기록한 후 2000년 -2%로 축소됐으나 2001년들어 -2.3%를 기록하는 등 다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반면 고소득층은 99년 36.3%에서 2000년 34.4%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36.2%, 올해 상반기 36.1%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환위기후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저축률 차이는 계속 확대돼 올 상반기 39.5%포인트에 이르렀다.
연령별로는 25∼29세의 저축률이 지난 97년 34.1%에서 올 상반기 23.9%로 10.2%포인트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또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격차는 5배에 이르렀지만 소비는 상위 20%와 하위 20% 차이가 2.7배여서 소득수준에 비해 소비수준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주택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내집 마련을 위한 저축의 필요성이 줄었고 저금리에 따라 언제라도 돈을 꿀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서 저축률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경제 성장의 잠재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저축을 통한 투자재원이 확충돼야 한다”며 “정부는 불건전한 소비 풍조를 없애는 한편 중.저소득층의 재산 형성이 이뤄지도록 정책을 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저축률 변화와 요인’에 따르면 올 상반기 소득 가운데 소비한 후 남은 저축 비중인 저축률이 26.9%를 기록했다. 분기별로는 지난 85년 26.6% 이후 최저수준이다.
개인의 처분가능한 소득 대비 저축액을 의미하는 가계의 저축률은 지난 98년 26.6%로 일본 17.7%와 대만 16.9% 보다 높았지만 99년 격차가 좁혀졌고 지난 2000년에는 역전돼 일본 16.3%, 대만 16.1%에 비해 0.7∼0.9%포인트 낮은 15.45로 떨어졌다.
특히 저소득층의 저축률은 -3.4%로 소득보다 소비가 더 많아 차입했거나 과거의 저축을 썼던 것으로 추정됐다. 저소득층의 저축률은 99년 -4.9%를 기록한 후 2000년 -2%로 축소됐으나 2001년들어 -2.3%를 기록하는 등 다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반면 고소득층은 99년 36.3%에서 2000년 34.4%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36.2%, 올해 상반기 36.1%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환위기후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저축률 차이는 계속 확대돼 올 상반기 39.5%포인트에 이르렀다.
연령별로는 25∼29세의 저축률이 지난 97년 34.1%에서 올 상반기 23.9%로 10.2%포인트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또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격차는 5배에 이르렀지만 소비는 상위 20%와 하위 20% 차이가 2.7배여서 소득수준에 비해 소비수준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주택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내집 마련을 위한 저축의 필요성이 줄었고 저금리에 따라 언제라도 돈을 꿀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서 저축률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경제 성장의 잠재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저축을 통한 투자재원이 확충돼야 한다”며 “정부는 불건전한 소비 풍조를 없애는 한편 중.저소득층의 재산 형성이 이뤄지도록 정책을 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