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현주기자 hjbeom@naeil.com
최근 휴대전화 도·감청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정보원(원장 신 건)이 휴대전화 도청이 가능한 장비를 50대로 늘려 운용하고 있다는 국정원 관계자의 주장이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국정원 관계자가 동아일보에 제보한 내용에 따르면 국정원이 대선을 앞두고 휴대전화 도청용 첨단장비를 기존의 20여대에서 올 상반기에 50대로 늘려 운용하고 있고 정관계 재계 언론계 등 주요인사들을 상대로 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국정원의 휴대전화 도청장비 운용사실(내일신문 9월 11일자·10월 24일자 보도)에 대해 구체적인 증언이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 관계자는 “이 장비의 유효가청거리는 반경 1㎞”라며 “이 장비를 실은 국정원 차량이 정관가와 언론사가 모여있는 서울 여의도, 세종로 일대, 서초동과 경기 과천시 등의 목표 건물 주변에서 도청활동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장비는 미 보안업체 CSS사의‘G-COM 2056 CDMA’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보안업체 관계자는 “이 도감청기는 대당 가격이 4억~5억원 가량이며 국내에서도 이미 사용 중”이라고 말했다.
이 도감청기는 대상 전화번호를 최대 1000개까지 미리 입력할 수 있고 동시에 최대 64채널까지 감청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장비는 007가방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미리 입력된 도감청대상 전화번호의 휴대전화가 발신 또는 수신될 경우 이를 감지, 통화내용이 암호로 바뀌어 녹음된 뒤 국정원 담당부서로 보내져 이를 해독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국정원측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강력히 부인하고 “동아일보에 법적 대응을 강구키로 했다”고 말했다.
검찰, 대검 도청여부 조사
검찰은 이귀남 기획관의 전화가 도청됐는지 여부에 대해 자체조사를 벌였다고 24일 밝혔다.
그러나 검찰이 도청여부에 대한 단서를 확보하지 못했으며, 당장 수사에 착수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2년 10월 25일자·507호
최근 휴대전화 도·감청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정보원(원장 신 건)이 휴대전화 도청이 가능한 장비를 50대로 늘려 운용하고 있다는 국정원 관계자의 주장이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국정원 관계자가 동아일보에 제보한 내용에 따르면 국정원이 대선을 앞두고 휴대전화 도청용 첨단장비를 기존의 20여대에서 올 상반기에 50대로 늘려 운용하고 있고 정관계 재계 언론계 등 주요인사들을 상대로 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국정원의 휴대전화 도청장비 운용사실(내일신문 9월 11일자·10월 24일자 보도)에 대해 구체적인 증언이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 관계자는 “이 장비의 유효가청거리는 반경 1㎞”라며 “이 장비를 실은 국정원 차량이 정관가와 언론사가 모여있는 서울 여의도, 세종로 일대, 서초동과 경기 과천시 등의 목표 건물 주변에서 도청활동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장비는 미 보안업체 CSS사의‘G-COM 2056 CDMA’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보안업체 관계자는 “이 도감청기는 대당 가격이 4억~5억원 가량이며 국내에서도 이미 사용 중”이라고 말했다.
이 도감청기는 대상 전화번호를 최대 1000개까지 미리 입력할 수 있고 동시에 최대 64채널까지 감청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장비는 007가방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미리 입력된 도감청대상 전화번호의 휴대전화가 발신 또는 수신될 경우 이를 감지, 통화내용이 암호로 바뀌어 녹음된 뒤 국정원 담당부서로 보내져 이를 해독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국정원측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강력히 부인하고 “동아일보에 법적 대응을 강구키로 했다”고 말했다.
검찰, 대검 도청여부 조사
검찰은 이귀남 기획관의 전화가 도청됐는지 여부에 대해 자체조사를 벌였다고 24일 밝혔다.
그러나 검찰이 도청여부에 대한 단서를 확보하지 못했으며, 당장 수사에 착수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2년 10월 25일자·507호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