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사 위해 절충형 국민경선도 수용 용의 …
단일화에 대한 의지 적극적으로 선회
민주당 노무현 후보측의 후보단일화에 대한 입장이 선택에서 필수로 바뀌고 있다. 특히 5일 공개한 자체여론조사 결과 민주당 지지층의 70%이상, 부동층의 과반수 정도가 단일화를 지지하고 있는 결과는 노 후보측을 단일화의 한길로 내몰고 있다. 자칫 단일화 의지가 의심받거나 실패의 책임을 뒤집어쓸 경우 지지층부터 이반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베어나오고 있다.
정 후보와의 단일화에 반대하는 측도 3자구도를 전제한 것은 아니다. 지지율 변동에 따라 결국 정 후보가 중도포기할 것이라는 결과적 단일화에 입각하고 있다.
마지못해 단일화를 수용 제안한 거처럼 비쳐졌던 노 후보는 한 걸음 나갔다. 노 후보는 5일 부산방송 토론회에서 "국민통합21 정몽준 후보측이 우리 제안을 받아들인다면 쌍방간 실무적 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만들수 있다"고 협상의지를 밝혔다. 노 후보는 "나와 정 후보는 큰 차이가 있지만 이회창 후보와의 차이보다는 작다고 국민이 보기때문에 합치라고 요구하는 것 같다"며 "과거 3당 합당도 국민이 받아들이지 못했지만 국민은 김영삼씨를 대통령으로 선출한 만큼 단일화라는 요구를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진일보한 단일화 의지를 밝혔다. 후보단일화 경선 방식에 대해 "지난 국민경선때의 16개 권역을 절반으로 줄여 2주안에 끝낸다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대철 선대위원장은 "오늘 사절단이 정후보측의 진의를 파악해 경선을 통한 단일화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선방식은 협상해 나갈 수 있다"고 말해 오늘부터 양측간 본격적인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노 후보측은 경선방식과 관련 국민경선이라는 원칙을 지키겠지만 그 방식에서는 정 후보측의 제안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여론조사 등의 방법을 가미하는 것도 굳이 반대하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선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정대철 선대위원장은 "선거법상 국민경선은 대선 30일전인 18일까지밖에 할 수가 없다"고 밝혀 국민경선을 위해서는 최소한 이번주중 경선방식과 일정확정-다음주 경선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노 후보측의 고민은 시간이 흐르면서 국민경선이 무산됐을 경우 대응이다. 경선이 물건너가면 여론조사-후보간담판에 의한 방식이 남는데 이를 수용하지 여부를 결정해야한다. 당내 일각에선 후보자간 담판도 배제해선 안된다는 입장이 나오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