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와 서울시의회에 이어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에서도 청계천복원사업에 대해 졸속추진을 우려하는 주장이 제기됐다.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가 25∼26일 양일간 진행한 ‘서울의 미래를 여는 청계천복원 세미나‘에서 강병기 본위원회 위원은 “(청계천복원을 공약으로 내세운) 이 시장이 선거에는 당선됐지만 청계천복원에 대해서는 시민합의가 필요하다”며 “사회적 합의과정을 졸속으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 시장이 청계천 복원 시기를 내년 7월로 못박은 데 대해서 시민위원회와 사전협의가 없었다는 점도 지적됐다.
노수홍 기획조정분과위원장은 “청계천 복원시작 시기와 관련해 서울시가 시민위원회와 사전에 아무런 협의가 없었다”며 “복원사업 시작도 시민위원회에서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는 청계천복원과 관련된 주요정책 심의와 시민의견 수렴 및 홍보활동을 담당하는 위원회로 지난 9월 12일 통과된 서울특별시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실치 및 운영조례에 의해 설립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청계천 주변 상인 등 직접적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 등 시민 의견수렴에서 한발 더 나아가 주민 참여형 사업이 되어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양윤재 서울시 청계천복원 추진본부장은 “동대문에 현장사무소를 두고 직원이 상주해 상인 등과 끊임없이 접촉점을 유지하겠다"고 답변했다.
양 본부장은 그러나 “청계천 주변 개발은 시에서 직접 나서는 형태가 아니라 민간주도 개발이 될 것”이라고 밝혀 청계천복원사업이 주변개발과는 분리될 것임을 밝혔다.
위원들은 청계천에 놓을 다리의 복원 문제와 관련, 광교와 수표교 등 과거의 특색 있는 다리를 원형 그대로 복원돼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시는 다음달 하순께 청계천 복원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는 한편 약 20개 정도의 청계천 교량 설치에 대한 국제 현상 공모에 들어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서울시 관계자는 27일 “청계천복원 시작지점은 동아일보사 앞이 거의 확정된 상태”라고 밝혔다. 그 동안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사업의 시작지점으로 청계천 상류, 동아일보사 앞, 광교사거리 등을 놓고 검토해 왔다.
/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가 25∼26일 양일간 진행한 ‘서울의 미래를 여는 청계천복원 세미나‘에서 강병기 본위원회 위원은 “(청계천복원을 공약으로 내세운) 이 시장이 선거에는 당선됐지만 청계천복원에 대해서는 시민합의가 필요하다”며 “사회적 합의과정을 졸속으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 시장이 청계천 복원 시기를 내년 7월로 못박은 데 대해서 시민위원회와 사전협의가 없었다는 점도 지적됐다.
노수홍 기획조정분과위원장은 “청계천 복원시작 시기와 관련해 서울시가 시민위원회와 사전에 아무런 협의가 없었다”며 “복원사업 시작도 시민위원회에서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는 청계천복원과 관련된 주요정책 심의와 시민의견 수렴 및 홍보활동을 담당하는 위원회로 지난 9월 12일 통과된 서울특별시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실치 및 운영조례에 의해 설립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청계천 주변 상인 등 직접적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 등 시민 의견수렴에서 한발 더 나아가 주민 참여형 사업이 되어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양윤재 서울시 청계천복원 추진본부장은 “동대문에 현장사무소를 두고 직원이 상주해 상인 등과 끊임없이 접촉점을 유지하겠다"고 답변했다.
양 본부장은 그러나 “청계천 주변 개발은 시에서 직접 나서는 형태가 아니라 민간주도 개발이 될 것”이라고 밝혀 청계천복원사업이 주변개발과는 분리될 것임을 밝혔다.
위원들은 청계천에 놓을 다리의 복원 문제와 관련, 광교와 수표교 등 과거의 특색 있는 다리를 원형 그대로 복원돼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시는 다음달 하순께 청계천 복원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는 한편 약 20개 정도의 청계천 교량 설치에 대한 국제 현상 공모에 들어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서울시 관계자는 27일 “청계천복원 시작지점은 동아일보사 앞이 거의 확정된 상태”라고 밝혔다. 그 동안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사업의 시작지점으로 청계천 상류, 동아일보사 앞, 광교사거리 등을 놓고 검토해 왔다.
/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