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명분’ 실종된 단일화협상

자기가 지는 상황 고려 안해… 후보회담으로 새국면

지역내일 2002-11-12 (수정 2002-11-12 오전 9:24:03)
‘명분’을 찾지 못한채 공전하고 있는 노무현- 정몽준 후보단일화 협상이 후보회동으로 새국면을 맞고 있다.
노무현 후보나 정몽준 후보는 ‘국민의 뜻’을 후보단일화의 명분으로 삼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노-정 두 후보 지지자와 부동층 등 조사대상의 과반수가 단일화를 원하고 있다.
후보단일화는 승리한 쪽만 살고, 패배한 쪽은 죽은 생존게임이 아니다. 이래서는 진 쪽에서 결과에 승복하지 않는다. 두 후보가 정책의 공통점을 찾아 단일후보를 내고, 집권할 경우 ‘공동정부’를 구성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유권자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양 당은 ‘국민의 뜻’이라는 막연한 말만 하고 있다. 두 후보가 합의가능한 ‘정치개혁’의 내용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11일 오후 노 후보는 “후보단일화 과정에서 원칙 없는 정책이라든지, 중산층 및 서민정책과 맞지 않는 정책, 그리고 잘못된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후보가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면 협상초반에 단일화 방식을 놓고 다툴 것이 아니라, 단일화의 명분과 합의할 수 있는 정책부터 찾아보아야 했다.
과거 87년 대선 때는 ‘군정종식’ 92년 대선 때는 ‘평화적 정권교체’라는 단일화 명분이 있었다. 뚜렷한 명분이 있었기에 단일화 협상에 나서는 당사자들도 정치적 부담이 컸고, 실패한 경우에는 정치적 책임을 져야 했다.
한때 노- 정 두 후보를 묶어주던 ‘민주평화개혁세력의 단일화’라는 명분은 약해졌다. 정 후보가 북한 핵개발과 관련해 이회창 후보와 다를 것 없는 시각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합의된 대의명분이 없으니 양 당이 내놓는 단일화 방안도 정략으로 흐르고 있다.
노- 정 두 후보는 자신이 양보하는 상황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 자신에게 유리한 방법만 주장할 뿐이다. 정 후보 측이 11일 2차협상에 들어가기 전 이례적으로 공개한 협상안은 친노 반노 비노파가 섞여 있는 민주당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상대의 약점을 이용한 협상안을 내놓는 것은 협상 결렬의 책임을 상대방에게 넘기기만 해도 절반은 성공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두 후보의 직접회동은 후보단일화의 명분을 찾고, 협상의 돌파구를 여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