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완 대전 정성기 기자 osw@naeil.com
안산 시화공단 자동차부품회사의 생산부장 노모(48)씨는 올해 초 서울에서 하던 사업을 정리하고 아버지 일을 돕고 있다.
노씨는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동종업체간 기술인력 빼가기 경쟁이 붙었고 새로운 인력을 구할수도 없어 아버지를 돕기로 했다”며 “최근 불법체류자 단속과 내년에 추방될 산업연수생이 동요하고 있어 이제는 피붙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으로 내려갈수록 중소기업의 인력구하기는 어렵다.
최근 서울에서 공동채용박람회를 개최한 대전지역 중소기업들의 행사장에는 20~30명의 구직자만이 참여하는데 그쳤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자체조사 결과 인력 부족률은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가 높고 올해에도 11.5%에 육박해 중소제조업의 인력난은 사상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청이 14일 조사 발표한 ‘2003년도 중소기업정책 방향에 대한 중소기업 견해조사’ 역시 중소기업들의 인력난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조사 결과 내년에 중점을 둬야 할 정책으로 만성적 인력난 해소가 28.2%를 차지했으며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산업연수생 제도의 확충 및 관리 강화, 산업기능요원제도 탄력운영 등이 지적됐다.
기초 소재형과 가공조립형 업종에서 외국인 산업연수생 제도 확충 및 관리 강화가 각각 31.9%와 25.0% 지적돼 일선 제조업체의 해외인력 의존도는 높아가고 있다.
그러나 생산직 부족을 타개하기 위한 외국인력 운용도 더 이상 대안으로 떠오르지 못하고 있다.
불법 체류자 중 25만명이 내년 상반기 추방되기 때문이다. 이중 조선족동포 등 소급적용되는 7~8만명의 인력이 남는다더라도 인력난은 심화될 전망이다.
1인당 20만원에 육박하는 비용을 지불해서라도 외국인노동자를 구하는데 혈안이 돼 있지만 이마저도 하늘의 별따기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일선 중소제조업체들은 외국인도 없어 못 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7일부터 12일간 중기중앙회에 접수된 외국인연수생 신청서는 중소기업 5659개, 3만898명이었으나 정부가 적용한 산업연수생 쿼터제로 인해 지난 21일 최종 배정업체수는 3463개업체, 1만8707명에 불과하다.
안산 시화공단 자동차부품회사의 생산부장 노모(48)씨는 올해 초 서울에서 하던 사업을 정리하고 아버지 일을 돕고 있다.
노씨는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동종업체간 기술인력 빼가기 경쟁이 붙었고 새로운 인력을 구할수도 없어 아버지를 돕기로 했다”며 “최근 불법체류자 단속과 내년에 추방될 산업연수생이 동요하고 있어 이제는 피붙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수도권에 비해 지방으로 내려갈수록 중소기업의 인력구하기는 어렵다.
최근 서울에서 공동채용박람회를 개최한 대전지역 중소기업들의 행사장에는 20~30명의 구직자만이 참여하는데 그쳤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자체조사 결과 인력 부족률은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가 높고 올해에도 11.5%에 육박해 중소제조업의 인력난은 사상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청이 14일 조사 발표한 ‘2003년도 중소기업정책 방향에 대한 중소기업 견해조사’ 역시 중소기업들의 인력난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조사 결과 내년에 중점을 둬야 할 정책으로 만성적 인력난 해소가 28.2%를 차지했으며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산업연수생 제도의 확충 및 관리 강화, 산업기능요원제도 탄력운영 등이 지적됐다.
기초 소재형과 가공조립형 업종에서 외국인 산업연수생 제도 확충 및 관리 강화가 각각 31.9%와 25.0% 지적돼 일선 제조업체의 해외인력 의존도는 높아가고 있다.
그러나 생산직 부족을 타개하기 위한 외국인력 운용도 더 이상 대안으로 떠오르지 못하고 있다.
불법 체류자 중 25만명이 내년 상반기 추방되기 때문이다. 이중 조선족동포 등 소급적용되는 7~8만명의 인력이 남는다더라도 인력난은 심화될 전망이다.
1인당 20만원에 육박하는 비용을 지불해서라도 외국인노동자를 구하는데 혈안이 돼 있지만 이마저도 하늘의 별따기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일선 중소제조업체들은 외국인도 없어 못 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7일부터 12일간 중기중앙회에 접수된 외국인연수생 신청서는 중소기업 5659개, 3만898명이었으나 정부가 적용한 산업연수생 쿼터제로 인해 지난 21일 최종 배정업체수는 3463개업체, 1만8707명에 불과하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