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 천연액화도시가스(LNG) 공급이 2002년 6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주배관 공사가 추진되고 있으나 원주권 소매 공급업자인 동아도시가스(주)(회장 이대봉·동아가스)가 공급기지 부지를 제공하지 않아 서비스 일정에 난항이 우려된다.
한국가스공사는 원주지역의 원활한 도시가스 공급을 위해 동아가스에 공급기지 건립을 위한 3000여평 부지를 무상대여 해주도록 요구했으나 동아가스측은 공시지가로 매입할 것을 주장, 공급기지 부지가 이 지역에서 7.5㎞떨어진 지정읍 신평리 화인레스피아 인근지역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공급기지에서부터 동아가스의 지구정합기까지 인입관로를 개설해야 하기 때문에 45억∼50억원의 추가 사업비가 소요된다. 현행법상 공급기지는 한국가스공사가, 지구정합기까지의 인입관로는 지역별 소매업자가 건립토록 돼 있어 동아가스가 해당 사업비를 투자해야 한다.
이와 관련 한국가스공사 관로건설팀 관계자는 "원주시내와 인접한 동아가스 부지에 공급기지를 설치할 경우 지구정합기와의 별도 인입관로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어 예산절감 효과가 있다"며 "특히 부지를 무상제공 할 경우 (동아가스가 투자해야 할) 인입관로 설치비용을 한국 가스공사가 부담해야 하는데 토지까지 매입한다면 특혜의혹이 제기돼 매입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동아가스 설계실의 한 관계자는 "서비스 개시를 위해 신규 투자될 시설비용이 막대하다. 때문에 자본축적을 위해 무상대여가 어렵다는 게 회사 방침"이라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공급기지가 신평리로 건립될 경우에 대해 "문막 공급기지 설치비 70억원과 신평리로부터의 인입관로 설치비를 합하면 120억원쯤 소요된다"며 "이렇게 되면 연간 매출이 200억원인 우리(동아가스)로서는 금융비용의 부담이 크다"며 서비스 지연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원주시 한 관계자는 "서비스 업자의 경우 현 프로판 가스(LPG)를 제공하나 LNG를 제공하는 수익성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투자비를 이유로 사업을 무기 연기시킬 수 있다"며 "이 경우 피해자는 질 좋고 저렴한 가격의 서비스를 못 받는 원주시민뿐"이라고 말했다.
공급업자가 자사 이익 챙기기만 급급하지 말고, 시민 편의를 위해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협의할 것은 협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가스공사는 원주지역의 원활한 도시가스 공급을 위해 동아가스에 공급기지 건립을 위한 3000여평 부지를 무상대여 해주도록 요구했으나 동아가스측은 공시지가로 매입할 것을 주장, 공급기지 부지가 이 지역에서 7.5㎞떨어진 지정읍 신평리 화인레스피아 인근지역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공급기지에서부터 동아가스의 지구정합기까지 인입관로를 개설해야 하기 때문에 45억∼50억원의 추가 사업비가 소요된다. 현행법상 공급기지는 한국가스공사가, 지구정합기까지의 인입관로는 지역별 소매업자가 건립토록 돼 있어 동아가스가 해당 사업비를 투자해야 한다.
이와 관련 한국가스공사 관로건설팀 관계자는 "원주시내와 인접한 동아가스 부지에 공급기지를 설치할 경우 지구정합기와의 별도 인입관로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어 예산절감 효과가 있다"며 "특히 부지를 무상제공 할 경우 (동아가스가 투자해야 할) 인입관로 설치비용을 한국 가스공사가 부담해야 하는데 토지까지 매입한다면 특혜의혹이 제기돼 매입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동아가스 설계실의 한 관계자는 "서비스 개시를 위해 신규 투자될 시설비용이 막대하다. 때문에 자본축적을 위해 무상대여가 어렵다는 게 회사 방침"이라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공급기지가 신평리로 건립될 경우에 대해 "문막 공급기지 설치비 70억원과 신평리로부터의 인입관로 설치비를 합하면 120억원쯤 소요된다"며 "이렇게 되면 연간 매출이 200억원인 우리(동아가스)로서는 금융비용의 부담이 크다"며 서비스 지연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원주시 한 관계자는 "서비스 업자의 경우 현 프로판 가스(LPG)를 제공하나 LNG를 제공하는 수익성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투자비를 이유로 사업을 무기 연기시킬 수 있다"며 "이 경우 피해자는 질 좋고 저렴한 가격의 서비스를 못 받는 원주시민뿐"이라고 말했다.
공급업자가 자사 이익 챙기기만 급급하지 말고, 시민 편의를 위해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협의할 것은 협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