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 ‘대북 비밀지원설’파문확산

한나라당 엄호성, 이성헌 송금경로 폭로…민주, 비밀지원 부인

지역내일 2002-09-27 (수정 2002-09-27 오전 7:36:33)
26일 국회 정무위의 금융감독원 대상 국감에서는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북한 비밀지원’의혹을 둘러싼 파문이 확산됐다. 한나라당 엄호성 의원과 이성헌 의원은 북한에 송금된 돈의 경로를 폭로하고, 금감원의 계좌추적 발동 등 전면적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엄호성 의원은 “현대상선이 산업은행에서 빌린 4900억이 북한 아태평화위원회의 외화벌이를 위해 만들어 둔 홍콩 마카오 등의 페이퍼 컴퍼니 계좌에 들어갔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또 전날 현대건설의 1800억원 대북 지원설을 주장했던 이성헌 의원은 “현대건설이 홍콩 싱가포르에 부동산사업 명목으로 송금한 1억5000만 달러는 6개 구좌로 나눠져 북한에 들어갔다”며 “현대그룹의 이익치 회장이 김재수 구조본부장에게 지시해 송금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 현대상선이 어디에 돈을 썼는지는 관심도 없었다”며 “산은 입장에서는 돈의 회수에만 신경썼다”고 추궁을 피해갔다. 계좌추적과 조사 요구에 대해서도 “금감위의 권한이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한편 민주당 의원들은 “당시 경제상황으로 봐서 현대에 대한 지원이 불가피했다”며 “정상회담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반박했다.
박주선 의원은 “금강산 관광사업으로 적자를 본 현대상선 측의 넋두리가 마치 정부가 압력을 가한 것처럼 오해를 불렀을 것”이라며 정상회담과의 관계에 대해서 반론을 펼쳤다. 박 의원은 “현대상선 김충식 사장이 ‘경협사업 과정에서 손해를 봤으니 정부가 지원을 해줘야 되는거 아니냐’라고 하소연을 할 수 있지 않냐”고 이근영 금감위원장에게도 거듭 물어 “그럴수도 있다”는 답변을 이끌어냈다.
김원길 의원도 “4900억의 돈이 해외로 송금됐다면 외화당국의 허가를 받고 기록이 있어야 한다”며 “기록도 없는데 무슨 근거로 주장을 하느냐”며 반론을 펼쳤다. 또 “현대산성의 장부만 공개해도, 이 돈이 제대로 쓰였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고 제안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