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능 고득점자 중 재수생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재학생 위주로 선발됐던 2학기 수시모집 예비 합격자 중 상당수가 수능자격기준 미달로 탈락했다.
2003학년도 2학기 수시모집 최종합격자 명단을 3일 발표한 서울 시내 각 대학에 따르면 학생부 성적과 심층면접 등으로 예비합격을 통보 받은 수험생들 중 대학별로 10∼60% 가량이 불합격 처리됐다. 이에 따라 최종 불합격 처리된 수험생들이 정시모집에 몰릴 것으로 예상돼 인기 대학·학과를 중심으로 경쟁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최종합격자를 발표한 연세대는 2학기 수시모집 조건부 합격자 721명중 40.2%인 290명을 수능자격기준등급 미달로 불합격 처리했다.
또 서강대는 598명중 30.27%인 181명을 불합격 처리했다.
435명을 뽑는 학교장추천전형의 경우 133명(36.67%)이 불합격 처리됐고, 120명을 선발하는 가톨릭지도자추천전형(2등급 이상)은 44명(36.67%)이, 43명을 모집하는 특기자전형(3등급)에서는 4명이 불합격 처리됐다.
특히 서강대의 경우 탈락자 181명중 인문계 2명을 제외한 179명이 이공계 수험생이었으며, 화공기계공학계의 미달률은 83.33%에 달했다.
한국외국어대는 461명중 절반이 훨씬 넘는 301명(65.3%)이 수능자격기준 미달로 블합격 처리됐다. 또 성균관대도 1200명중 624명(52%)이 불합격 처리됐고, 한양대는 125명중 57명(46%)이 탈락했다.
이화여대는 2학기 수시모집 예비합격자 901명중 41.1%인 370명이 수능자격기준에 들지 못해 탈락했고, 경희대는 794명중 110명(13.5%)이 불합격 처리됐다.
4일 공식적으로 최종합격자를 발표하는 서울대의 경우 수시2단계 합격자 1146명중 13%인 140∼150명이 수능자격기준등급(2등급, 체육교육과는 3등급)을 채우지 못해 최종합격에서 탈락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한 대학 관계자는 “수능 고득점에 재수생들이 몰리면서 재학생을 위주로 선발하는 수시 모집에서 최저학력등급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2003학년도 2학기 수시모집 최종합격자 명단을 3일 발표한 서울 시내 각 대학에 따르면 학생부 성적과 심층면접 등으로 예비합격을 통보 받은 수험생들 중 대학별로 10∼60% 가량이 불합격 처리됐다. 이에 따라 최종 불합격 처리된 수험생들이 정시모집에 몰릴 것으로 예상돼 인기 대학·학과를 중심으로 경쟁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최종합격자를 발표한 연세대는 2학기 수시모집 조건부 합격자 721명중 40.2%인 290명을 수능자격기준등급 미달로 불합격 처리했다.
또 서강대는 598명중 30.27%인 181명을 불합격 처리했다.
435명을 뽑는 학교장추천전형의 경우 133명(36.67%)이 불합격 처리됐고, 120명을 선발하는 가톨릭지도자추천전형(2등급 이상)은 44명(36.67%)이, 43명을 모집하는 특기자전형(3등급)에서는 4명이 불합격 처리됐다.
특히 서강대의 경우 탈락자 181명중 인문계 2명을 제외한 179명이 이공계 수험생이었으며, 화공기계공학계의 미달률은 83.33%에 달했다.
한국외국어대는 461명중 절반이 훨씬 넘는 301명(65.3%)이 수능자격기준 미달로 블합격 처리됐다. 또 성균관대도 1200명중 624명(52%)이 불합격 처리됐고, 한양대는 125명중 57명(46%)이 탈락했다.
이화여대는 2학기 수시모집 예비합격자 901명중 41.1%인 370명이 수능자격기준에 들지 못해 탈락했고, 경희대는 794명중 110명(13.5%)이 불합격 처리됐다.
4일 공식적으로 최종합격자를 발표하는 서울대의 경우 수시2단계 합격자 1146명중 13%인 140∼150명이 수능자격기준등급(2등급, 체육교육과는 3등급)을 채우지 못해 최종합격에서 탈락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한 대학 관계자는 “수능 고득점에 재수생들이 몰리면서 재학생을 위주로 선발하는 수시 모집에서 최저학력등급을 만족시키지 못한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