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잇따라 내놓은 전문가 대상 신용대출 상품의 판매 실적이 예상보다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정부의 억제방침으로 주택담보대출이 힘들어진 은행들이 신용대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지만 판매액은 오히려 줄고 있는 추세다.
6일 금융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 8월말부터 ‘노블레스론’을 판매해왔지만 지난 11월말 현재 354억원의 실적을 거두는 데 그쳤다.
판사, 변호사, 의사, 한의사, 공인회계사 등 비교적 신용도가 좋은 우량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이 상품은 신용대출로는 가장 낮은 수준인 최저 7.7%의 금리를 제공하며 신한은행이 적극적인 판매에 나섰던 상품. 판매 첫달인 9월에는 127억원. 10월 145억원의 실적을 거두기도 했지만 11월에는 82억원으로 판매액이 급감했다.
한미은행도 지난 9월초 약사들을 대상으로 한 ‘팜론’을 선보였다. 지난 11월말 대출실적은 156억원. 10월중 72억원이 판매됐던 이 상품도 11월에는 47억원으로 실적이 크게 줄고 있다.
한미은행은 또 지난 1월부터 의사들을 대상으로 ‘닥터론’을 판매해지난 11월말 현재 1161억원의 대출실적을 기록했다.
이 상품은 상반기 중 매월 80~170억원씩 꾸준히 판매됐지만, 10월 44억원, 11월 19억원으로 최근 들어 대출액이 급감하고 있다.
조흥은행이 지난해 12월부터 선보인 ‘프로비즈론’도 의사, 변호사, 감정평가사, 세무사 등 16개 업종의 전문직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개인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보증 신용대출 상품이다. 조흥은행은 대출 관련 서류를 간소화하고 기존 거래가 없는 고객들에게도 대출해주는 등 공격적인 영업을 펼쳤으나 지난 11월까지 대출실적은 600억원에 불과했다.
우리은행도 지난 4월부터 개업의사들에게 최고 2억원까지 신용대출해주는 ‘닥터론’을 판매해 대출총액이 11월말 1000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그동안 매월 100억원 이상 판매됐던 이 상품도 지난달에는 35억원으로 신규대출액이 급감했다.
우리은행은 이에 앞선 지난 2월말부터 변호사, 세무사, 공인회계사 등 전문직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한‘전문직사업자 신용대출’을 판매하고 있다.
11월말까지 대출실적은 295억원으로 매월 10~20억원씩 판매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밖에 지난 99년부터 판매되고 있는 국민은행의 ‘전문직 무보증 대출’ 상품도 석달째 1050억~1060억원의 잔액을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전문가 대상 대출 상품의 판매 실적이 부진한 까닭은 은행간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직 종사자들은 비교적 신용이 좋고 소득도 높아 돈을 떼일 염려가 거의 없어 주택담보대출 길이 막힌 시중은행들이 앞다투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대출공략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전문직종 종사자들의 대출수요는 한정돼 있어 은행의 실적은 갈수록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담보대출이 어려워진 은행들이 비교적 위험이 적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신용대출 확대에 나서고 있다”며 “하지만 정작 대출수요는 많지 않아 벌써 시장이 포화상태인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신용대출을 늘리겠다고 하지만 대부분 전문직 종사자 등 위험도가 없는 고객들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며 “손쉬운 방법만 찾지말고 신용평가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을 늘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6일 금융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 8월말부터 ‘노블레스론’을 판매해왔지만 지난 11월말 현재 354억원의 실적을 거두는 데 그쳤다.
판사, 변호사, 의사, 한의사, 공인회계사 등 비교적 신용도가 좋은 우량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이 상품은 신용대출로는 가장 낮은 수준인 최저 7.7%의 금리를 제공하며 신한은행이 적극적인 판매에 나섰던 상품. 판매 첫달인 9월에는 127억원. 10월 145억원의 실적을 거두기도 했지만 11월에는 82억원으로 판매액이 급감했다.
한미은행도 지난 9월초 약사들을 대상으로 한 ‘팜론’을 선보였다. 지난 11월말 대출실적은 156억원. 10월중 72억원이 판매됐던 이 상품도 11월에는 47억원으로 실적이 크게 줄고 있다.
한미은행은 또 지난 1월부터 의사들을 대상으로 ‘닥터론’을 판매해지난 11월말 현재 1161억원의 대출실적을 기록했다.
이 상품은 상반기 중 매월 80~170억원씩 꾸준히 판매됐지만, 10월 44억원, 11월 19억원으로 최근 들어 대출액이 급감하고 있다.
조흥은행이 지난해 12월부터 선보인 ‘프로비즈론’도 의사, 변호사, 감정평가사, 세무사 등 16개 업종의 전문직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개인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보증 신용대출 상품이다. 조흥은행은 대출 관련 서류를 간소화하고 기존 거래가 없는 고객들에게도 대출해주는 등 공격적인 영업을 펼쳤으나 지난 11월까지 대출실적은 600억원에 불과했다.
우리은행도 지난 4월부터 개업의사들에게 최고 2억원까지 신용대출해주는 ‘닥터론’을 판매해 대출총액이 11월말 1000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그동안 매월 100억원 이상 판매됐던 이 상품도 지난달에는 35억원으로 신규대출액이 급감했다.
우리은행은 이에 앞선 지난 2월말부터 변호사, 세무사, 공인회계사 등 전문직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한‘전문직사업자 신용대출’을 판매하고 있다.
11월말까지 대출실적은 295억원으로 매월 10~20억원씩 판매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밖에 지난 99년부터 판매되고 있는 국민은행의 ‘전문직 무보증 대출’ 상품도 석달째 1050억~1060억원의 잔액을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전문가 대상 대출 상품의 판매 실적이 부진한 까닭은 은행간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직 종사자들은 비교적 신용이 좋고 소득도 높아 돈을 떼일 염려가 거의 없어 주택담보대출 길이 막힌 시중은행들이 앞다투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대출공략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전문직종 종사자들의 대출수요는 한정돼 있어 은행의 실적은 갈수록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담보대출이 어려워진 은행들이 비교적 위험이 적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신용대출 확대에 나서고 있다”며 “하지만 정작 대출수요는 많지 않아 벌써 시장이 포화상태인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신용대출을 늘리겠다고 하지만 대부분 전문직 종사자 등 위험도가 없는 고객들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며 “손쉬운 방법만 찾지말고 신용평가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을 늘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