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노조의 반대와 국철의 불참 등에도 불구하고 오늘부터 지하철 막차시간을 1시간 연장하겠다는 당초 방침을 그대로 밀어붙이기로 했다.
그러나 국철구간은 이번 연장운행에서 제외되는데다가 시민의 안전 등을 이유로 노조측에서는 연장운행을 거부하는 것은 물론 저지활동까지 벌이겠다는 입장이어서 자칫 파행이 우려된다.
서울시와 서울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는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9일 밤 12시부터 인천·수원·일산·분당지역 등 국철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의 지하철 막차시간을 평일에만 종착역 기준으로 1시간 연장한다”고 밝혔다.
또 지하철 막차시간이 1시간 늦춰짐에 따라 밤늦게 귀가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64개 노선과 경기도 일부 버스노선의 운행시간 등을 지하철 연장운행에 맞춰 일부 조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철도청은 노조와의 단체교섭이 타결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번 연장운행에 불참하겠다는 입장을 피력, 서울역에서 인천 및 수원, 청량리에서 의정부를 오가는 1호선 국철구간 및 3호선 구파발∼대화, 수서∼오리구간, 4호선 사당∼안산구간 등은 기존 막차시간이 그대로 적용된다.
또 서울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노조는 “지난 92년에도 지하철 30분 연장운행이 도입됐으나 취객들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적자폭이 확대되는 등 문제점이 많아 취소된 적이 있었다”면서 “이번 연장운행은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 없이 대선을 앞두고 졸속으로 이뤄지는 것이니만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 노사간 충돌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 명순필 도시철도공사 정책실장은 “강행될 경우 저지투쟁은 물론 파업까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국철구간은 이번 연장운행에서 제외되는데다가 시민의 안전 등을 이유로 노조측에서는 연장운행을 거부하는 것은 물론 저지활동까지 벌이겠다는 입장이어서 자칫 파행이 우려된다.
서울시와 서울지하철공사, 도시철도공사는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9일 밤 12시부터 인천·수원·일산·분당지역 등 국철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의 지하철 막차시간을 평일에만 종착역 기준으로 1시간 연장한다”고 밝혔다.
또 지하철 막차시간이 1시간 늦춰짐에 따라 밤늦게 귀가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64개 노선과 경기도 일부 버스노선의 운행시간 등을 지하철 연장운행에 맞춰 일부 조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철도청은 노조와의 단체교섭이 타결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번 연장운행에 불참하겠다는 입장을 피력, 서울역에서 인천 및 수원, 청량리에서 의정부를 오가는 1호선 국철구간 및 3호선 구파발∼대화, 수서∼오리구간, 4호선 사당∼안산구간 등은 기존 막차시간이 그대로 적용된다.
또 서울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노조는 “지난 92년에도 지하철 30분 연장운행이 도입됐으나 취객들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적자폭이 확대되는 등 문제점이 많아 취소된 적이 있었다”면서 “이번 연장운행은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 없이 대선을 앞두고 졸속으로 이뤄지는 것이니만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 노사간 충돌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 명순필 도시철도공사 정책실장은 “강행될 경우 저지투쟁은 물론 파업까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