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첫 대선판이 종전방식과는 크게 달라지고 있다.
정치권 의지와는 무관하게 민심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전적 방식인 지역주의와 네거티브 전략 비중은 눈에 띄게 감소됐다. 재미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대선 초반 한나라당에서 제기했던 국정원 도청의혹과 노 후보 재산관련 의혹 폭로가 단적인 예다.
이 같은 전술은 한나라당의 기대치에 훨씬 못 미쳤다는 게 공통된 견해다. 노무현 후보에 대한 직접적 타격이 안됐을 뿐 아니라 되레 유권자들의 반감만 샀다는 평가다. 한나라당 관계자들도 인정하는 대목이다. 예고했던 3차 폭로를 중단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대한 민주당의 맞대응 성격이었던 이회창 후보측에 대한 세경진흥의 22억 제공설이나 기양건설 10억 수수설도 마찬가지다. 양쪽 모두 네거티브와 폭로전으로는 유권자들을 움직일 수 없음을 대선 초반전에서 절실히 깨달았다.
노무현 후보가 6일 정쟁중단을 전격 선언한 것도, 이회창 후보가 8일 정치개혁을 위한 파격적 프로그램을 제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정치권 스스로 원한 것이라기보다는 민심에 등이 떠밀린 경우다. 아무튼 분명한 것은 개혁 아젠다를 선점하는 것이 이번 대선의 중요한 변수로 자리잡았다는 점이다.
선거초반 부산과 충청권에 대해 쏠렸던 관심이 최근 수도권의 30대∼40대 유권자 층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양당의 선거전략가들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선구도로 볼 때 결국 수도권 부동층이 승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 세몰이 동원은 유권자가 거부 = 이 뿐만이 아니다. 이번 대선에서 또 하나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대규모 세몰이가 사실상 종말을 고하고 있다는 것이다.
100만명씩 동원하던 정당연설회는 그야말로 옛말이 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6일 발표한 정당연설회 관련 집계가 이채롭다. 선관위에 따르면 지난 15대 대선 때 후보평균 49회(한나라 60회, 국민회의 200회), 14대때 후보평균 379회(민주자유당 571회, 민주당 1014회, 통일국민당 844회)를 개최한 반면 이번 대선에서는 한나라당이 2회, 민주당이 단 한 번 정당연설회를 개최하는 데 그쳤다. 그나마 참여인원도 평균 600명 정도였다.
이렇게 되자 각 후보진영에서는 ‘게릴라식 유세전’을 펼치고 있다. 동원이 아니라 유권자들이 모여 있는 곳을 찾아다니며 유세전을 벌이는 것이다. 과거처럼 세몰이에 동원되는 것을 유권자들은 분명히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법적으로 후보별 정당연설회 횟수는 315회나 가능하지만 각 후보 진영에서는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정당연설회에 대한 일종의 사형선고가 내려졌다.
◇ 미디어 환경이 중요변수로 = 지역주의와 색깔론도 마찬가지다. 이 같은 방식은 제기하는 쪽이 오히려 손해보는 상황으로까지 치닫고 있다.
참여연대 손혁재 운영위원장은 “시대변화에 따라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크게 바뀌어 색깔론이나 지역주의가 더 이상 안 먹혀들고 있다”면서“더구나 양당 후보들은 (3김 시대처럼) 지역에 기반을 두고 절대 카리스마를 갖는 후보도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지역주의나 흑색선전의 빈자리에는 미디어, 인터넷 매체라는 새로운 환경이 새롭게 자리잡았다. 시공을 초월하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매체의 특성이 그대로 선거판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TV토론이나 찬조연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이 중요한 변수로 등장했다. 남은 선거운동 기간 동안 양 진영이 뉴미디어 선거전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치권 의지와는 무관하게 민심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전적 방식인 지역주의와 네거티브 전략 비중은 눈에 띄게 감소됐다. 재미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대선 초반 한나라당에서 제기했던 국정원 도청의혹과 노 후보 재산관련 의혹 폭로가 단적인 예다.
이 같은 전술은 한나라당의 기대치에 훨씬 못 미쳤다는 게 공통된 견해다. 노무현 후보에 대한 직접적 타격이 안됐을 뿐 아니라 되레 유권자들의 반감만 샀다는 평가다. 한나라당 관계자들도 인정하는 대목이다. 예고했던 3차 폭로를 중단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대한 민주당의 맞대응 성격이었던 이회창 후보측에 대한 세경진흥의 22억 제공설이나 기양건설 10억 수수설도 마찬가지다. 양쪽 모두 네거티브와 폭로전으로는 유권자들을 움직일 수 없음을 대선 초반전에서 절실히 깨달았다.
노무현 후보가 6일 정쟁중단을 전격 선언한 것도, 이회창 후보가 8일 정치개혁을 위한 파격적 프로그램을 제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정치권 스스로 원한 것이라기보다는 민심에 등이 떠밀린 경우다. 아무튼 분명한 것은 개혁 아젠다를 선점하는 것이 이번 대선의 중요한 변수로 자리잡았다는 점이다.
선거초반 부산과 충청권에 대해 쏠렸던 관심이 최근 수도권의 30대∼40대 유권자 층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양당의 선거전략가들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선구도로 볼 때 결국 수도권 부동층이 승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 세몰이 동원은 유권자가 거부 = 이 뿐만이 아니다. 이번 대선에서 또 하나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대규모 세몰이가 사실상 종말을 고하고 있다는 것이다.
100만명씩 동원하던 정당연설회는 그야말로 옛말이 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6일 발표한 정당연설회 관련 집계가 이채롭다. 선관위에 따르면 지난 15대 대선 때 후보평균 49회(한나라 60회, 국민회의 200회), 14대때 후보평균 379회(민주자유당 571회, 민주당 1014회, 통일국민당 844회)를 개최한 반면 이번 대선에서는 한나라당이 2회, 민주당이 단 한 번 정당연설회를 개최하는 데 그쳤다. 그나마 참여인원도 평균 600명 정도였다.
이렇게 되자 각 후보진영에서는 ‘게릴라식 유세전’을 펼치고 있다. 동원이 아니라 유권자들이 모여 있는 곳을 찾아다니며 유세전을 벌이는 것이다. 과거처럼 세몰이에 동원되는 것을 유권자들은 분명히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법적으로 후보별 정당연설회 횟수는 315회나 가능하지만 각 후보 진영에서는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정당연설회에 대한 일종의 사형선고가 내려졌다.
◇ 미디어 환경이 중요변수로 = 지역주의와 색깔론도 마찬가지다. 이 같은 방식은 제기하는 쪽이 오히려 손해보는 상황으로까지 치닫고 있다.
참여연대 손혁재 운영위원장은 “시대변화에 따라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크게 바뀌어 색깔론이나 지역주의가 더 이상 안 먹혀들고 있다”면서“더구나 양당 후보들은 (3김 시대처럼) 지역에 기반을 두고 절대 카리스마를 갖는 후보도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지역주의나 흑색선전의 빈자리에는 미디어, 인터넷 매체라는 새로운 환경이 새롭게 자리잡았다. 시공을 초월하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매체의 특성이 그대로 선거판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TV토론이나 찬조연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이 중요한 변수로 등장했다. 남은 선거운동 기간 동안 양 진영이 뉴미디어 선거전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