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수원시가 공동 개발키로 합의한 이의동 개발과 관련, 수원시의회에서 수원시가 들러리가 아닌 계획의 주체가 돼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양종천(우만2동)의원은 최근 시의회 본회의에서 의견제안 발언을 통해 “이의동 개발은 수원시가 계획의 주체가 되고 시행기관은 경기도와 협의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수원시 집행부가 주체적 사고를 갖고 접근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양의원은 또 “경기도와 수원시가 6대 4 지분을 투자해 이뤄진 재단법인 경기도2002수원월드컵경기추진위원회도 운영전반을 실질적으로 도가 주도하고 있다”며 “시는 예산만 지원하고 잘 되고 있는지 행정사무감사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의원은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이의동 개발도 도에 의해 이끌려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시민단체나 시의회가 공청회등을 통한 시민의견을 반영하고 시 집행부가 주체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토지공사나 주택공사, 경기개발공사가 사업 주체가 될 경우 건교부장관 승인사항이기 때문에 시가 설자리가 없을 것이라며 “향후 시의회 결의문 채택이 필요하다면 의원들의 협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양의원 발언에 대해 일각에서는 수원시와 경기도가 이의동 개발 주도권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실제로 양 자치단체가 공동으로 도시개발을 추진하면서 적지 않은 마찰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양종천(우만2동)의원은 최근 시의회 본회의에서 의견제안 발언을 통해 “이의동 개발은 수원시가 계획의 주체가 되고 시행기관은 경기도와 협의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수원시 집행부가 주체적 사고를 갖고 접근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양의원은 또 “경기도와 수원시가 6대 4 지분을 투자해 이뤄진 재단법인 경기도2002수원월드컵경기추진위원회도 운영전반을 실질적으로 도가 주도하고 있다”며 “시는 예산만 지원하고 잘 되고 있는지 행정사무감사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의원은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이의동 개발도 도에 의해 이끌려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시민단체나 시의회가 공청회등을 통한 시민의견을 반영하고 시 집행부가 주체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토지공사나 주택공사, 경기개발공사가 사업 주체가 될 경우 건교부장관 승인사항이기 때문에 시가 설자리가 없을 것이라며 “향후 시의회 결의문 채택이 필요하다면 의원들의 협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양의원 발언에 대해 일각에서는 수원시와 경기도가 이의동 개발 주도권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실제로 양 자치단체가 공동으로 도시개발을 추진하면서 적지 않은 마찰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